지난해 매출 역성장을 기록한 종근당의 투 트랙 전략이 주목된다. 사진은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종근당 사옥 전경. /사진=종근당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종근당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1조5864억원, 영업이익 995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5.0%, 59.7% 감소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도 1108억원으로 48.1% 감소했다.
실적 부진은 기술수출로 인해 일시적으로 영업이익이 급증한 역기저 효과와 주력 품목 케이캡 이탈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2023년 종근당은 글로벌 제약사 노바티스와 신약 후보물질 CKD-510에 대한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총 계약금은 3억5000만달러(약 1조7302억원)이다.
종근당은 2019년부터 HK이노엔과 함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을 판매해왔으나 2023년 계약 종료로 매출이 중단됐다. 2023년 판매 종료된 케이캡 매출은 1376억원으로 전체 매출 1조6694억원의 8.2%를 차지한다.
━
신규 품목·R&D 강화로 케이캡 공백 메운다━
종근당 파이프라인 현황. /그래픽=김은옥 기자
고덱스는 지난해 초부터, 펙수클루는 6월부터 공동 판매를 시작했다. 고덱스는 셀트리온제약의 전신인 한서제약이 2000년 개발한 개량신약이다. 펙수클루는 케이캡과 같은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지난해 고덱스와 펙수클루의 매출은 각각 506억원, 442억원을 기록했다. 종근당의 지난해 신규 품목 매출은 총 1268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요 품목인 전문의약품도 매출에 힘을 실을 것으로 보인다. 종근당의 캐시카우(현금창출원)인 골다공증 치료제 프롤리아주,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아토젯의 지난해 매출은 각각 1367억원, 1027억원이다. 전년 대비 각각 17.8%, 15.4% 증가하며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신약 R&D 확대를 통해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꾀하고 중장기적 성장에 주목할 전망이다. 종근당의 연간 R&D 투자 규모는 1500억원 안팎으로 ▲2021년 1635억원 ▲2022년 1814억원 ▲2023년 1513억원 ▲2024년 1423억원 등이다. 종근당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CKD-702와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CKD-508 등 만성질환 및 난치성 질환을 포괄하는 신약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종근당은 올해 매출의 10%가량을 연구개발비에 투입할 예정이다. 올해 종근당 매출 컨센서스(시장 추정치)는 1조6702억원이며 연구개발비는 약 1600억원 규모로 예상된다. 종근당 관계자는 "올해는 연구개발비를 확대해 R&D를 강화하고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투자할 예정"이라며 "항암제 라인도 강화하면서 매출 확보를 위해 전사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