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6일 화성시, 기아와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왼쪽부터 정명근 화성특례시장, 김동연 경기도지사, 송호성 기아 대표이사).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는 6일 화성시, 기아와 '기아 PBV 기반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세 기관은 이날 협약을 통해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조성하고 기아의 지속적인 투자 지원 협력을 약속했다. 화성시 우정읍 기아 오토랜드 화성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정명근 화성특례시장, 송호성 기아 사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기아가 경기도에 2조대 규모 투자를 결정한 것은 대단히 의미있는 일"이라며 "트럼프 2.0 시대 통상압력 파고가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내린 큰 결단"이라고 평가했다.
현대차그룹 자동차 제조사 '기아'는 화성시에 세계 최초 PBV(다목적 기반 교통수단) 전용 공장 화성 이보 플랜트(EVO Plant)를 29만㎡ 규모로 조성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미래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를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 상반기에는 대형 PBV 공장 건립도 착공할 예정이
다.
PBV는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택시·택배·셔들 등 특정 목적에 맞게 설계한 맞춤형 교통수단이다. 기아는 올해 전용 플랫폼에 기반한 맞춤형 차량 구조와 다양한 첨단 신기술을 갖춘 첫 번째 전용 PBV인 PV5의 양산을 시작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나설 예정이다.
PV5는 차세대 전기차 모델로 다양한 사용성을 고려한 '패신저', 화물 사업 등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카고', 고객의 세분화된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컨버전' 등 다양한 버전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6일 PBV 업무협약식에서 PV5 차량에 시승하고 있는 김동연 경기도지사. 사진제공=경기도
정 시장은 "화성은 자동차 산업 메카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이끌 최적의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며 "미래차 산업의 핵심 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혁신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