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2021년 9월 방위사업청과 계약한 LSF-II 시뮬레이터 체계개발 사업을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사진=한국항공우주산업(KAI)
2021년 9월 방위사업청과 LSF-II 시뮬레이터 체계개발 사업을 계약한 KAI는 이후 41개월 간 개발을 진행해 지난달 28일 납품을 완료했다.
고속상륙정은 독도함과 같은 대형수송함에 탑재돼 병력, 물자, 장비를 수송한다. 상륙작전과 연안 방어 임무를 수행하는 공기부양정이다. 시속 70㎞ 이상의 고속항해가 가능해 승조원들에게 고난이도 조종능력과 비상상황 대응 절차 숙달 훈련이 요구된다.
이로써 해군은 가상훈련을 활용한 효과적인 상륙작전 능력 향상과 안전한 승조원 양성 시스템을 구축하게 됐다. 기존에는 실제 고속상륙정을 활용한 훈련과 해외업체 시뮬레이터 교육을 통해 승조원을 양성했으나 비상상황 및 극한 환경 대응 훈련에는 한계가 있었다.
KAI가 개발한 시뮬레이터는 해상환경(파도, 포말 등)을 반영한 함운동역학을 자체 개발하고 모션시스템을 적용해 3차원 환경에서 실전과 유사한 훈련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이번 사업을 통해 확보한 고속상륙정의 통합감시제어장치(CAMS) 개발 기술을 활용해 향후 국산화를 추진할 전망이다.
KAI는 국산항공기 시뮬레이터 개발 기술을 기반으로 해외 기종 및 함정으로 시뮬레이터 사업을 확대하고 훈련센터 구축 등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 국내 1위 시뮬레이터 개발 인프라를 보유한 KAI는 지난 23년간 전 세계 7개국 29개 기지에 총 63대의 시뮬레이터를 납품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국산항공기뿐만 아니라 P-3C, KF-16 시뮬레이터는 물론 해군의 장보고-Ⅲ 조종훈련장비, 고속상륙정 시뮬레이터 등 항공을 넘어 해상 분야로도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향후 AI,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VR·MR 메타버스 시뮬레이터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강구영 KAI 사장은 "이번 고속상륙정 시뮬레이터는 KAI가 쌓아온 항공 및 해상 분야 기술력이 집약된 결과물"이라며 "해군의 정예 승조원 양성을 통해 상륙작전 임무 수행 능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