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1인가구 소비지출에 따른 지역 내 산업별 생산유발효과/사진=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제공.
18일 안지연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경제조사팀 과장과 조진오 업무팀 조사역이 제공한 '광주전남지역 1인가구 현황과 소비지출 영향 분석'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광주 1인가구 주택 점유 형태 중 자가비중은 35.7%로 다인가구(73.3%)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월세비중은 47.4%로 다인가구(14.3%)보다 3배 이상 높았다.
연령별 주택 점유형태를 보면 30대 미만(71.5%)에서 월세 비중이 가장 높았고 30~50대도 40% 이상으로 높았다.
광주 1인가구주 월평균 소득(128만3000원)은 다인가구주 월평균 소득(206만3000원)의 62.2% 수준에 불과했고 다른 광역시 1인가구주 월평균 소득(150만5000원)도 약 20% 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기준 광주 1인가구 비중은 36.5%(22만9000가구)로 전국 평균(35.5%)에 비해 높은 수준이며 오는 2050년에는 40.3%(24만1000가구)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광주지역 1인가구주는 다인가구주에 비해 임시·일용근로자 비중은 높았다.
상용근로자 비중은 50.2%로 다인가구주(56.6%)보다 낮은 반면 임시·일용근로자 비중은 31.5%로 다인가구주(14.7%)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견줘봐도 광주 1인가구주는 다른 광역시(상용근로자 비중 55.8%, 임시·일용근로자 26.4%)에 비해 고용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것으로 분석됐다.
1인가구 소비지출은 지역 내 △음식·숙박 △부동산 △음식료품 △보건복지 부문에서 '생산유발효과'가 크지만 △교육 △정보통신방송 △금융보험 등에서는 유발효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지연 과장은 "1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소비지출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고려할 때 종합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며 "1인가구의 소득 기반 강화를 위한 고용과 주거 안정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