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안 관리법이 주목된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사진=이미지투데이
27일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에 따르면 노안은 수정체 탄력이 감소해 근거리 시력이 떨어지는 눈의 변화다.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비가역적이다. 통상 40대 초반부터 증상을 느끼기 시작하고 60대까지 증상이 심해진다.
수정체는 먼 곳의 물체를 볼 때 가장 얇고 가까이 볼수록 두께가 증가해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노안은 수정체의 전반적인 기능이 저하되는 게 특징이다. 그 결과 ▲작은 글씨나 물체가 보이지 않음 ▲피곤하거나 어두운 곳에서 가까운 거리의 물체를 보기 어려움 ▲먼 곳과 가까운 곳을 교대로 볼 때 초점 전환이 느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노안으로 인한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선 습관 및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주변 조명을 밝게 하면 동공이 축소되면서 초점 심도가 높아져 초기 노안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큰 글씨로 된 책을 보거나 컴퓨터 화면이나 스마트폰의 글씨와 그림을 확대 설정하는 것도 좋다. 근거리 작업 중간중간 쉬는 시간을 많이 갖는 것도 필요하다.
약한 근시가 있는 눈은 안경을 벗으면 가까운 곳이 잘 보이기 때문에 단순히 안경을 벗는 것만으로도 노안 증상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근시 안경을 쓰는 사람들이 안경을 눈에서 멀리, 코끝에 걸게 되면 안경 도수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어느 정도 근거리 안경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질병청은 "(노안의) 기본적인 치료는 근거리용 안경을 사용하는 것이고 이중초점렌즈나 누진다초점렌즈도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수술적 치료 방법도 있지만 이는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