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전략무인정찰기와 AI기술이 도입된 자폭공격형 무인기를 시찰한 후 생산능력 확장에 동의했다. 사진은 27일 노동신문이 공개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모습. /사진=뉴스1(노동신문)
27일 뉴스1에 따르면 이날 노동신문은 김 총비서가 지난 25일부터 26일까지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연구집단의 국방과학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김 총비서는 무인항공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와 기업소에서 새로 개발 및 생산 중인 각종 무인정찰 및 자폭공격형 무인기 등을 점검했다.
신문은 김 총비서가 현대전투를 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총비서는 무인기 기술의 군사적 효과성과 전략적 가치에 대한 중요한 평가를 하며 생산능력 확장에 동의했다고 설명했다.
신문은 무인기에 대해 "지상과 해상에서 적군 활동을 추적 감시할 수 있는 탐지 능력을 갖춘 신형 무인전략정찰기의 혁신적인 성능"이라며 "다양한 전술공격임무수행에 이용할 수 있는 자폭무인기들의 타격능력"이라고 과시했다
신문은 김 총비서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이 개발한 새 정찰 및 정보수집수단들과 전자교란공격체계들의 성능과 앞으로의 전망계획에 대해서도 점검했다고 전했다. 또 북한은 새 전자교란공격무기체계들이 개발·생산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김 총비서는무인항공기술련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당면임무와 전망 목표들에 대한 과업도 제시했다고 전했다. 다만 과업이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
이날 박정천·조춘룡 당 비서와 리병철 당 군수정책담당 총고문, 김용환 국방과학원 등이 동행했다. 신문이 공개한 사진에는 무인기가 타격지점에서 폭파되는 등의 모습이 담겼다. 일부 사진들은 흐릿하게 처리돼 정확한 무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없도록 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