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정책이 현지 물가 상승을 불러올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미국 월마트에서 소비자가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 시각)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모든 무역 상대국에 10% 이상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최저 10%의 기본관세에 각국이 미국산 제품에 매기는 관세와 비관세장벽까지 감안해 가중치를 부여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한국은 25%의 관세율이 적용되며 그 외 ▲중국 34% ▲유럽연합(EU) 20% ▲일본 24% ▲베트남 46% ▲대만 32% ▲태국 36% ▲인도 26% 등이다.
국내 수출기업들은 사실상 25% 인상된 가격에 상품을 공급하거나 가격 경쟁력을 위해 수출 원가를 낮춰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업계는 일단 즉각적인 대응보다는 당분간 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현재 미국 내 생산기지가 없는 대표적인 수출기업으로는 삼양식품, 오리온, 오뚜기, 하이트진로, 휠라 등이 있다.
북미 수출 비중이 높은 삼양식품은 현재 추이를 지켜보며 대응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상호관세 정책이 장기화할 경우 수익성 저하를 피할 수 없다. 수출국 다변화를 통한 추가 채널 확보가 필요하다.
휠라는 OEM(주문자 생산)을 통해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등 여러 국가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휠라 측은 "정치적·경제적 리스크를 고려해 공급망 집중도를 분산하는 등 효율적인 소싱 운영을 위해 힘쓰고 있다"고 전했다.
오리온, 오뚜기, 하이트진로 등은 아직 미국 미출 비중이 크지 않다. 각 기업의 총매출 대비 미국 매출 비율은 1.1%, 3.0%, 2.4% 정도로 추정된다. 당분간은 상호관세 영향이 크지 않지만 이들 기업 대부분이 북미 공략 강화를 염두에 두고 있어 좀 더 세밀한 전략이 요구된다.
━
식품·의류 가격 민생과 직결… 피해는 현지 소비자가━
앞서 지난 30일(현지 시각)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수십년간 안정세였던 미국 물가가 오르고 있으며 트럼프 관세가 추가 상승을 불러올 것이라 보도했다. 국내 식품·패션기업 관계자들의 전망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 A씨는 "아무리 경쟁력을 갖춰도 상호관세 25%를 감내할 수 있는 기업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미국 내 소비자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 내다봤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 B씨는 "미국 내 생산시설이 없는 기업들이 뒤늦게 생산기지를 찾아 나선다 해도 공장 가동에는 수년이 소요될 것"이라며 "천신만고 끝에 공장을 가동한다 해도 그 시점에 상호관세 정책이 어떻게 바뀔지 장담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특히 패션과 식품 등 민생과 직결된 제품 가격이 인상될 경우 결국 피해를 보는 건 현지 소비자들이다. 트럼프 정부가 높은 관세를 얼마나 끌고 갈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C씨는 "트럼프 상호관세가 발동돼도 식품이나 의류 쪽 영향은 자동차·철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라며 "생활과 밀접한 상품들은 현지에서 소비 위축을 우려해 당분간 세일 등의 마케팅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