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S 설문조사 결과 유통업계 관계자들은 탄핵 정국으로 산업이 위축(56%)됐다고 느꼈으며 인용 이후 소비심리가 회복될 것으로 기대(53%)했다. 기업활동이 되살아날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72%)으로 정치적 상황보다는 국제 경제 현황이나 트럼프 상호관세, 환율 등이 더 큰 변수라고 봤다. 서울시내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양배추를 고르고 있다. /사진=뉴시스
머니S는 지난 4일 탄핵 인용 직후부터 6일까지 국내 식음료·채널·유통 기업 36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탄핵 정국으로 산업이 위축(56%)됐다고 느꼈으며 인용 이후 소비심리가 회복될 것으로 기대(53%)했다. 기업활동이 되살아날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72%)으로, 정치적 상황보다는 국제 경제 현황이나 트럼프 상호관세, 환율 등이 더 큰 변수라고 봤다. 응답자 가운데 절반 이상(53%)은 이번 탄핵 인용이 해외 시장에서 국가 이미지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 풀이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탄핵 정국으로 산업이 위축(56%)됐다고 느꼈고 기업활동도 기존보다 소극적(33%)이었다고 답했다. /그래픽=강지호 기자
'기업활동에 소극적이었다'고 답한 관계자들은 전반적으로 '광고, 마케팅, 프로모션을 축소하고 보도자료 등 언론홍보를 자제했다'고 입을 모았다. 개별 의견으로는 "비상계엄 선포 후 탄핵 심판까지 전체적인 매출 하락을 경험했고 신규 투자 및 인력 채용 역시 중단했다" "민생 경제가 전반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하기가 어렵다" "고객 이벤트 등의 활동을 축소했다" "탄핵정국, 트럼프 당선 이후 관세정책 발표 등 국내외 정세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환율이 오른 것이 가장 큰 피해를 줬다" 등이 있었다.
━
트럼프 관세·환율 상승 등 풀어야 할 과제 많아━
업계 관계자들은 '탄핵 인용 이후 소비심리 회복을 기대하나'라는 물음에는 ▲그렇다 53% ▲보통 33% ▲아니다 14%로 답했다. /그래픽=강지호 기자
기업활동과 소비심리가 살아날 것이라고 응답한 이들은 "탄핵 인용 후 정치적 안정이 이뤄진다면 정부의 정책지원이 기업활동을 뒷받침할 것" "소비심리 회복에 따른 기업활동 소폭 증가 예상" "탄핵에만 머물러 있던 정치·경제 인사들이 대선 준비를 위해 시민에게 관심을 돌릴 것. 변화하는 사회 분위기 영향으로 소비 진작, 채용 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립적인 태도를 취한 50%와 아니다로 대답한 22%는 탄핵 인용으로 당장 기업활동이 증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봤다. 대체로 정치적 불안감은 해소됐지만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여전히 불안정한 점을 꼽았다.
구체적인 이유로는 "기업들은 정치 상황보다는 대내외적 경제·환율 등의 이슈에 더 민감해 정치와 별개로 사업 전략을 구상하기 때문에 즉시 활동을 늘리지는 않을 것" "내수 경제가 바로 좋아질 것 같지 않아서" "트럼프 관세 등 대외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이 계속될 것이기 때문에 쉽사리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기 어려울 것" "대선 전까지는 특별한 동향이 없을 것" "국제정세 불안으로 인한 원자재와 환율 상승이 더 큰 문제" 등을 들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