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의 고율 관세에 따라 국내 건설업계가 받을 타격은 제한될 것으로 전망되나 공사비 증가 리스크는 우려된다. 사진은 지난 2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백악관 로즈 가든에서 관세 관련 발언을 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국내 건설업계도 리스크가 고개를 들었다. 반도체·배터리 등 수출형 산업에 비해 건설업의 수익 감소 영향은 미미한 편이나, 글로벌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따른 공사비와 분양가 상승 우려가 제기된다.

7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건설 동향 브리핑'에 따르면 국내 건설업의 수입 의존도는 3.4%로 전기·가스·수도·하수산업(25.4%) 광업·제조업(19.2%) 등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만 철근·봉강 등 공사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자재의 수입품 비중은 15.0%에 달한다.
채상욱 커넥티드그라운드 대표는 "국내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수입 자재의 경우 미국산보다 중국산 비중이 높다"며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한 직접 가격 상승의 우려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의 고율 관세가 건설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글로벌 공급망 불안이 수년째 지속되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장기화하며 분양경기 회복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여러 국가가 미국에 보복 관세를 이어갈 경우 인플레이션은 더욱 심화될 수 있다.
미국 정부의 고율 관세에 따른 국내 건설업계가 받을 타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단지 공사현장. /사진=뉴스1
국내 부동산 산업을 지탱하는 분양시장은 건설경기와 경제 전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잿값 상승과 분양가 추가 인상시 수요 감소와 내수 경기 둔화로 연결돼 건설업계의 경영 환경을 더욱 악화시킬 전망이다.
송승현 도시와 경제 대표는 "자재비 상승이 분양가에 전가되면 수요가 위축되고 부동산 전반의 침체로 작용할 것"이라며 "중소·중견 건설사가 가장 먼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특히 지방 도시를 중심으로 아파트 미분양 적체가 심화되고 있어, 일정 수준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고금리·고물가에 따른 건설 원가 상승 여파로 올해 신동아건설(이하 시공능력 58위) 삼부토건(71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대저건설(103위) 삼정기업(114위) 안강건설(138위) 벽산엔지니어링(180위) 이화공영(134위)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미국 관세에 따른 단기 영향은 미미해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건설업계들도 움츠러들고 있는 분위기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하도급업체와 중소·중견건설사의 자금난이 앞으로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