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엄 준대형 전기 SUV '더 뉴 아우디 Q6 e-트론'의 디자인은 익숙함 속 진화한 멋을 드러낸다. /사진=김창성 기자
아우디가 선보인 프리미엄 전기 SUV '더 뉴 아우디 Q6 e-트론'은 장점이 가득하다. 프리미엄 세그먼트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PPE(프리미엄 플랫폼 일렉트릭) 기술이 적용된 최초의 양산 모델이다.
새로운 전기 아키텍쳐와 향상된 배터리 성능 및 충전효율, 역동적인 주행 성능을 갖춰 운전자의 만족감을 끌어 올린다. 조작이 편리해 직관성이 높은 인포테인먼트 화면 역시 강점이다.
익숙한 느낌 속 멋진 디자인 진화
프리미엄 전기 SUV '더 뉴 아우디 Q6 e-트론'은 잘 생겼다. 신형 모델이라고 과도하게 멋을 부려 오히려 디자인 감각이 후퇴하는 경우가 다반사인데 익숙한 SUV 느낌과 함께 디자인 진화도 이뤄냈다.

프리미엄 준대형 전기 SUV '더 뉴 아우디 Q6 e-트론'은 익숙함과 진화가 공존하는 디자인이다. /사진=김창성 기자
차체 전면부는 전기차 특유의 폐쇄형 인버티드 싱글프레임 그릴과 아우디 2D 로고가 조화를 이룬다. 높은 위치에 자리 잡은 주간주행등이 강렬하고 당당한 외관을 완성해 고급감을 더한다.
트림에 따라 LED 헤드라이트 및 다이내믹 턴 시그널이 적용(더 뉴 아우디 Q6 e-트론 퍼포먼스·더 뉴 아우디 Q6 e-트론 퍼포먼스 프리미엄)된 테일라이트, 매트릭스 LED 및 디지털 OLED 테일라이트(더 뉴 아우디 Q6 e-트론 콰트로 프리미엄·더 뉴 아우디 SQ6 e-트론)가 탑재돼 넓은 가시 범위와 선명한 시야를 제공한다.


더 늘어난 LED 픽셀 개수 덕분에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콰트로 프리미엄'과 '더 뉴 아우디 SQ6 e-트론'의 헤드라이트와 테일라이트 모두 8가지 라이트 시그니처 가운데 취향에 맞는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는 것도 운전자 취향을 고려한 배려다.

프리미엄 준대형 전기 SUV '더 뉴 아우디 Q6 e-트론'은 일체형 커브드 콕핏이 인상적이지만 휴대전화 충전패드(사진 속 빨간 동그라미) 위치는 불편하다. /사진=김창성 기자
실내에서는 계기반과 내비게이션 화면까지 일체형으로 연결된 곡석형 디지털 콕핏이 인상적이다. 새로운 차원의 디지털 스테이지 경험을 가능케 하는 11.9인치 버츄얼 콕핏 플러스와 14.5인치 MMI 터치 센터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운전자의 시각적 즐거움은 물론 조작 편의성까지 신경썼다.
아우디는 인체공학적 요소와 디자인이 조화를 이룬 '소프트랩'(softwrap) 콘셉트와 새로운 컨트롤유닛으로 더욱 편안한 주행환경과 직관적인 조작을 도왔다.

조수석 탑승자를 위한 조수석 전용 10.9인치 디스플레이(옵션)를 통해 운전석과 별도로 내비게이션 기능과 다양한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다.


전기 SUV '더 뉴 아우디 Q6 e-트론'의 2열은 성인 남성이 앉기에도 공간이 넉넉하다. /사진=김창성 기자
앞좌석 디자인에서 아쉬운 대목은 휴대전화 충전패드 위치였다. 내비게이션 화면 아래쪽 좁은 공간 깊숙하게 자리한 휴대전화 충전 패드는 안쪽 가로 방행으로 기울어져 있어 시각적으로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다.
휴대전화를 충전 패드에 정확하게 일치시켜 내비게이션 화면에 충전 신호가 제대로 뜨기까지 한참 걸렸다. 패드가 기울어져 있어 휴대전화를 고정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재질의 핀까지 장착돼 휴대전화를 고정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눈으로 보는 2열은 앞좌석과 간격이 다소 좁아보였지만 직접 탑승하면 주먹 두 개 정도 들어갈 만큼의 공간이 남아 답답하지 않았다.

전기차답게 프렁크(보닛 안쪽 저장공간)에 남성용 백팩 정도는 충분히 넣을 수 있는 저장공간이 마련됐고 트렁크는 대형 골프백도 거뜬히 실릴 만큼 넓어 공간 효율성도 탁월했다. 충전 포트도 양쪽에 한 개씩 총 두 개가 달려 있어 충전소에서 어느 위치로 주차를 하든 편리한 충전이 지원된다.

전기 SUV '더 뉴 아우디 Q6 e-트론'에는 남성용 백팩 수납이 가능할 정도의 프렁크가 탑재됐다. /사진=김창성 기자
오래 잘 달리는 데, 아쉬운 내비 성능
시승은 2인 동승으로 서울을 출발해 강원도 원주 일대를 찍고 돌아오는 왕복 5시간여의 230㎞ 코스를 체험했다. 서울시내 주행과 구불구불한 강원도 산길, 고속도로 주행 등 다양한 코스가 있어 '더 뉴 아우디 Q6 e-트론'을 느끼기에 안성맞춤이었다.
시승 모델은 가능 낮은 트림인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퍼포먼스'였고 출발 전 주행 가능거리는 502㎞(국내 인증 주행 가능거리 468㎞)였다.

오전 출근시간 막바지라 서울시내에선 가다 서다를 반복해 제대로 된 주행감각을 느낄 수 없었지만 강변북로를 타고 경기도 양평 일대 서울 외곽으로 달리면서 점차 속도가 붙었다.

프리미엄 준대형 전기 SUV '더 뉴 아우디 Q6 e-트론'의 트렁크는 여러개의 골프백을 실을 수 있을 만큼 공간이 넉넉하다. /사진=김창성 기자
승차감은 다소 딱딱했지만 풍절음 없이 주행질도 훌륭했다. 덩치에 비해 코너링이 부드러웠고 차선을 조금만 벗어나도 핸들이 곧바로 자동으로 꺾여 차를 제 자리로 돌려놔 준다.
내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조작하는 것도 간편했다. 최근 출시되는 자동차는 물리버튼이 사라지며 어느 한 기능을 조작하기까지 몇 단계에 걸쳐 터치를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더 뉴 아우디 Q6 e-트론'의 조작 기능은 대체적으로 간편하고 직관적이었다.

계기반에 표시된 다양한 주행 정보도 운전자의 원활한 운전을 도울 만큼 훌륭했다.

1차 목적지까지 116㎞ 정도 달리는 동안 전비는 평균 5.6㎞/kWh 정도 나왔다. 다소 더운 날씨라 실내 온도를 23도에 맞추고 에어컨을 가동 시키자 주행 가능거리가 60㎞가량 줄었지만 장거리 주행에는 전혀 지장이 없었다.

프리미엄 준대형 전기 SUV '더 뉴 아우디 Q6 e-트론'에는 충전 포트가 양쪽에 한 개씩 총 두 개가 달려 있어 편리한 충전을 지원한다. /사진=김창성 기자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포퍼먼스 트림은 최대출력 225kW와 49.46kg.m의 최대토크를 발휘해 굽이지고 가파른 산길도 거뜬하게 치고 올랐다. 도로 폭이 좁고 방지턱 등 다양한 장애물도 있었지만 주변 지형지물에 대한 경고 안내 등 안전 기능도 제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
고속주행이 백미였다. 210㎞/h(안전제한속도)의 최고속도와 정지 상태에서 100㎞/h까지 가속하는 6.7초가 걸리는 날렵한 기동력이 제대로 드러났다.

가속·브레이크 페달이 민감하지만 감도는 묵직해 조작이 쉬웠고 반응도 빨랐다. 고속도로 고속주행에서 제 빨리 달리고 신속하게 멈추는 능력이 탁월하게 발휘됐다.

아쉬운 점도 몇 가지 있다. 내비게이션 반응이 대체로 느렸다. 목적지가 설정돼 있음에도 수시로 주행 방향을 못 잡고 엉뚱한 안내를 반복하는 등 실시간 반응이 더뎠다.

프리미엄 준대형 전기 SUV '더 뉴 아우디 Q6 e-트론'의 내비게이션은 반응이 다소 느리고 목적지 주행 방향(사진 속 빨간 동그라미)과 다른 길 안내를 지속해 업데이트가 필요해 보였다. /사진=김창성 기자
불륨을 올리고 내리며 조작을 할 때 해당 단계에서의 불륨 정도가 안내음으로 나오지 않아 해당 단계의 볼륨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려면 주행 안내 등이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점도 불편했다. 내비게이션 성능은 신속한 업데이트가 필요해 보였다.
국내 자동차 구매자들에게 인기가 높은 기능인 통풍시트도 약했다. 가장 높은 3단계로 틀고 달렸지만 차가운 느낌이 미미했고 시간이 지나면 마치 꺼진 상태로 느껴질 정도여서 무더운 여름에 제 기능을 하기엔 역부족일 것 같았다.

가격(환경친화적 자동차 등재 기준, 부가세 포함)은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퍼포먼스 8290만원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퍼포먼스 프리미엄 8990만원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콰트로 프리미엄 1억690만원 ▲더 뉴 아우디 SQ6 e-트론 1억1590만원부터다.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퍼포먼스 트림에는 삼성SDI의 배터리가 달렸고 나머지 트림에는 중국의 CATL 배터리가 탑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