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장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MBK-홈플러스 기업회생신청 관련 야3당 정무위원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 사진=뉴시스 조성봉 기자
아직 구체적인 입장이 나오지 않은 가운데 홈플러스는 납품 차질 사태를 놓고 갈등이 커지는 등 혼란이 지속되는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주당·조국혁신당·사회민주당 의원들은 지난 2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와 대주주 김병주 회장은 사재출연 계획을 포함한 구체적인 재원마련 방안을 오늘 4월 10일까지 제시하라"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기한을 하루 앞둔 현재까지 구체적인 계획은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야권은 MBK가 책임있는 변제안을 내놓지 않을 경우 강도높은 조치를 취하겠다고 압박하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홈플러스는 거래처 및 이해관계자들과 납품 차질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다.
서울우유는 지난달 20일부터 홈플러스에 대한 납품을 중단했다. 홈플러스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신청 전 체불한 납품 대금 지급 방식과 기한을 두고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농협경제지주도 채권한도를 대폭 줄이며 납품을 보류했다.
하지만 홈플러스는 서울우유가 현금 선지급 조건을 요구해 납품 협상에 차질을 빚고 있어 낙농 농장주와 서울우유 대리점주가 피해를 보고 있다고 언급해 반발을 키우고 있다.
한국농축산연합회는 "홈플러스가 일방적으로 거래를 끊어 놓고 피해 책임을 농가에 돌리고 있다"며 "여론의 화살을 피하려 무리수를 두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MBK 회장의 사재 출연 이행도 없는 상황에서 납품 조합들은 불안을 안고 물품을 공급하고 있다"며 "홈플러스는 농업인 앞에 사과하고 구체적인 정상화 계획을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임대료 관련한 논란도 불거졌다. 홈플러스는 당초 임대료 인하 요청 사실이 없다고 밝혔지만 최근 30~50% 감액을 요구하는 공문을 리츠 및 부동산펀드 운용사들에 발송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펀드·리츠의 기한이익상실(EOD)로 이어져 대출금의 조기상환, 담보자산의 강제매각, 투자자 손실 등 혼란을 불러올 것으로 우려된다.
업계에서는 MBK가 책임있는 변제안을 내놓지 않거나 내용이 미흡하다고 판단될 경우 국회가 조만간 청문회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야권은 "온 국민을 기만한 죄를 청문회를 통해 반드시 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실질적 대주주로서 김병주 회장은 국회 청문회에 출석해 지금의 상황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밝히고, 책임 있는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