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싱크홀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며 시민들의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서울 강동구 인근 사거리에서 발생한 싱크홀 모습. /사진=뉴스1
1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13일 부산 사상구 도시철도 공사장 인근에서 가로 5m, 세로 3m, 깊이 5m 규모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했다. 같은 날 서울 마포구 애오개역 인근에도 지름 40㎝, 깊이 1.3m의 싱크홀이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앞서 지난 11일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에서 지하터널이 붕괴해 작업자 1명이 실종된 사고가 발생한 지 이틀 만의 일이다. 지난달 24일에는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싱크홀에 빠진 오토바이 운전자가 숨지는 사고도 발생했다.
이번 사고는 지하 공사장 인근에서 발생했다. 대형 굴착이 지반 안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통상 2월 말부터 4월 초 봄철 해빙기에 지반구조가 불안해짐에 따라 지반 침하, 배관 파열, 옹벽 붕괴 등의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도시 인프라의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 같은 도로 침하와 싱크홀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
지하 안전망 구축 등 근본 대책 필요━
최근 연이어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로 시민들의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공사 현장이 붕괴된 모습 /사진=뉴시스
일각에서는 공공 발주사가 민간인 시공사로 위험을 전가하는 구조 문제를 제기한다. 사고가 잇따르자 건설업계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와 도로 지하화 사업 등 대형 프로젝트들이 진행중인 상황이어서 지반 안전 문제가 부각됨에 따라 계약 지연과 손해배상 리스크가 커졌기 때문이다.
지하 공간이 많은 대도시권일수록 사고 발생이 집중되고 특히 지하철·터널·배수관 등 기반 시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염태영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수원시무)이 국토교통부로부터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싱크홀은 총 2085건으로 조사됐다. 이 중 서울은 216건으로 가장 많고 광주 182건, 부산 157건, 대전 130건, 인천 66건, 울산 37건 순이다.
안형준 전 건국대 건축대학 학장은 "지형과 지질의 철저한 모니터링이 있었다면 붕괴 사고는 사전에 막을 수 있다"며 "시공사가 신뢰할 수 있는 지하 정보 공공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구조 조사 단계와 시공 품질, 지반 조사, 감리 등 관리가 이뤄졌다면 지금 같은 붕괴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어야 한다"면서 "다만 최근의 싱크홀 사고들은 지하 20m 부근에서 발생했고 GTX의 경우 지하 40m에 특수 공법이 적용돼 안정성이 확보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