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싱크홀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며 시민들의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서울 강동구 인근 사거리에서 발생한 싱크홀 모습. /사진=뉴스1
최근 연이어 발생한 대형 싱크홀(땅 꺼짐) 사고로 시민들의 불안이 확산될 뿐 아니라 주요 인프라 사업의 지연 우려가 제기되며 사회·경제 전반의 비용 리스크가 커졌다. 지하 공사장의 안전성과 노후 인프라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13일 부산 사상구 도시철도 공사장 인근에서 가로 5m, 세로 3m, 깊이 5m 규모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했다. 같은 날 서울 마포구 애오개역 인근에도 지름 40㎝, 깊이 1.3m의 싱크홀이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앞서 지난 11일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에서 지하터널이 붕괴해 작업자 1명이 실종된 사고가 발생한 지 이틀 만의 일이다. 지난달 24일에는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싱크홀에 빠진 오토바이 운전자가 숨지는 사고도 발생했다.


이번 사고는 지하 공사장 인근에서 발생했다. 대형 굴착이 지반 안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통상 2월 말부터 4월 초 봄철 해빙기에 지반구조가 불안해짐에 따라 지반 침하, 배관 파열, 옹벽 붕괴 등의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도시 인프라의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 같은 도로 침하와 싱크홀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지하 안전망 구축 등 근본 대책 필요
최근 연이어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로 시민들의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공사 현장이 붕괴된 모습 /사진=뉴시스
안전 사고가 반복될 경우 주요 인프라 사업들의 지연 우려가 제기된다. SK에코플랜트 컨소시엄이 시공한 부전-마산 복선전철 사업은 2020년 완공 예정이었으나 낙동강-사상역 구간에서 발생한 터널 붕괴 사고로 공사가 4년 이상 지연됐다. 공사 지연에 따른 추가 공사비 등 손실 비용은 9000억원으로 추정된다.
일각에서는 공공 발주사가 민간인 시공사로 위험을 전가하는 구조 문제를 제기한다. 사고가 잇따르자 건설업계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와 도로 지하화 사업 등 대형 프로젝트들이 진행중인 상황이어서 지반 안전 문제가 부각됨에 따라 계약 지연과 손해배상 리스크가 커졌기 때문이다.

지하 공간이 많은 대도시권일수록 사고 발생이 집중되고 특히 지하철·터널·배수관 등 기반 시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염태영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수원시무)이 국토교통부로부터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싱크홀은 총 2085건으로 조사됐다. 이 중 서울은 216건으로 가장 많고 광주 182건, 부산 157건, 대전 130건, 인천 66건, 울산 37건 순이다.


안형준 전 건국대 건축대학 학장은 "지형과 지질의 철저한 모니터링이 있었다면 붕괴 사고는 사전에 막을 수 있다"며 "시공사가 신뢰할 수 있는 지하 정보 공공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구조 조사 단계와 시공 품질, 지반 조사, 감리 등 관리가 이뤄졌다면 지금 같은 붕괴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어야 한다"면서 "다만 최근의 싱크홀 사고들은 지하 20m 부근에서 발생했고 GTX의 경우 지하 40m에 특수 공법이 적용돼 안정성이 확보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