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3개년 실적 추이. /그래픽=김은옥 기자
LG CNS가 지난 2월 상장 이후 주가 하락세가 이어졌지만 시장에선 성장 잠재력을 주목하고 있다.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핵심 사업 부문이 성장세를 나타내 올해 제시될 'AX(AI 전환)' 청사진에 기대가 모인다.
LG CNS는 2024년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해 매출은 5조9826억원으로 전년 대비 6.7%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5129억원으로 전년과 견줘 10.5% 늘었다. 전체 매출 절반 이상인 3조3518억원(56%)을 클라우드와 AI 부문에서 거두며 핵심 성장동력으로서의 위상을 입증했다. 해당 사업 매출은 한 해 전과 비교해 15.8% 성장했다.

LG CNS는 성장세를 지속하기 위해 글로벌 빅테크와의 연대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아시아 최초로 구글 클라우드의 '생성형 AI 전문기업' 인증, 같은해 6월 국내 최초로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생성형 AI 컴피턴시' 인증을 획득했다. 최근에는 코히어, W&B 등 글로벌 AI 기업들과도 손잡고 에이전틱(Agentic) AI 시장 선점을 위해 AX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


기업 고객이 원하는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을 돕는 'DAP GenAI 플랫폼', 멀티모달 기반의 이미지 생성형 AI인 '드래그(DRAG)' 등 자체 솔루션을 기반으로 AI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LG CNS는 ▲제조기업의 마케팅 이미지 생성형 AI 서비스 ▲카드사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은행 고객상담 챗봇 구축 ▲정부 전용 행정지원 생성형 AI 서비스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왔다. 최근에는 은행, 증권, 보험 등 금융권 AX사업을 대거 수주하기도 했다.

AI 사업 중심에는 전담 조직 'AI센터'와 'Gen AI 스튜디오'가 있다. Gen AI 스튜디오는 생성형 AI 혁신에 관심이 많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잘 모르는 기업 고객들에게 컨설팅, 워크숍, 프로토타이핑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현재까지 약 50개 기업 고객들이 Gen AI 스튜디오를 거쳤다.
세계적 수준의 클라우드 역량… 올해 AX 전문기업 도약 원년
LG CNS 부산 데이터센터. /사진=LG CNS
클라우드 분야에서 LG CNS는 MSP(Managed Service Provider) 최강자로 평가받고 있다. LG CNS는 국내 톱 게임사, 국내외 물류사 등 다양한 산업군 기업의 IT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며 독보적인 MSP 사업 역량을 확보했다.
클라우드 역량은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LG CNS는 지난해 4월 진행된 '구글 클라우드 파트너 어워즈 2024'에서 한국의 '서비스 파트너(Services Partner of the Year)'로 2년 연속 선정됐다.

구글 클라우드 파트너 어워즈는 구글 클라우드와 협력해 고객에게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제공하며 뛰어난 성과를 달성한 디지털 혁신 선도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상식이다. LG CNS는 고객 비즈니스 특성에 최적화된 구글 클라우드 전환을 통해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LG CNS는 올해를 AX 전문기업으로 도약하는 '원년'으로 선언하고 AI 기반 고객 접점 혁신 프로젝트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신한은행의 'AI 브랜치' 프로젝트가 눈에 띈다. AI를 통해 상담부터 금융 서비스 연결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한 것으로 LG CNS가 주도해 개발했다. 이 밖에도 신한카드, 농협은행 등과도 생성형 AI 기반 플랫폼 구축을 추진 중이다.

앞으로 금융·공공 부문뿐 아니라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물류, 스마트시티 등 스마트 엔지니어링 영역에서도 보폭을 넓힐 계획이다. 그동안 쌓아온 시스템통합(SI) 역량을 바탕으로 데이터 중심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최적화된 파트너로 자리매김하려는 포석이다.

LG CNS 관계자는 "기업 비즈니스에서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된 AI와 클라우드 영역에서 글로벌 수준의 역량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며 "올해부터 AI 기술을 매개로 기업들의 AX(AI Transformation)에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