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뉴스1에 따르면 이번 한·미 관세 협의 대표단은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필두로 각 부처 부서장과 실무진을 포함해 25명 내외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기재부와 산업부, 외교부, 농식품부 등으로 구성된 실무단은 24일로 예정된 한·미 2+2 통상협의를 위해 22~23일 미국으로 출국한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오는 24일 밤 9시(현지시각 오전 8시) 미국 워싱턴 D.C.에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만날 예정이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이번 미국 관세·통상 문제와 관련해 콘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협의단에 관계부처가 폭넓게 참여할 것을 지시했다.
정부 관계자는 "(회의에서)한 권한대행이 협의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의제에)해당되는 부처는 갔으면 좋겠다는 의미로 얘기했다"고 전했다.
협의를 실무적으로 뒷받침할 범부처 지원단(가칭)이 급파될 예정이다. 지원단 간사 역할은 박성택 산업부 1차관이 맡을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10명 내외의 부서장·실무진이 참여한다. 통상 G20 재무장관회의·IMF 총회 수행은 국제금융국과 개발금융국에서 담당한다. 하지만 이번에는 관세·통상 정책과 관련된 관세정책관, 대외경제국장 등 국장급 부서장과 실무진을 포함한 10명 내외가 2+2회담에 참여한다.
산업통상자원부도 박 차관에 더해 미국 통상 현안을 총괄하는 미주통상과를 중심으로 10명 내외의 실무진을 파견한다. 아울러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한·미 조선 협력 등도 의제로 거론되고 있어 관련 부서인 가스산업과, 조선해양플랜트과 등도 협상단 실무라인에 포함될 예정이다. 아울러 외교 주무 부처인 외교부와 농식품부에서도 협의단에 합류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