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한 후보는 '5대 메가폴리스 건설' 공약 발표를 통해 '3(세계 3대 AI 강국 도약)·4(국민소득 4만달러 달성)·7(중산층 비율 70% 확대) 비전'을 구체화했다. 지방분권이나 행정통합을 넘어 산업·연구·교육·정주가 통합된 첨단 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정책 모델이다. '좋은 정부'를 내세우는 한 후보의 '설계형' 정치의 일관된 확장선이기도 하다.
이번 5대 메가폴리스 공약으로 기존의 기술·복지·행정 설계에 더해국토 자체의 구조를 재편하는 물리적 설계가 결합된 셈이다. 한 후보는 그동안 '좋은 정부 설계'를 기조로 기능별 정책을 구조화하고 확장하는 공약을 추구했으며 ▲AI 인프라 150조 투자 ▲미래전략부 신설 ▲한평생 복지계좌 도입 ▲사회보장부 신설 등이 이에 해당된다.
반면 홍준표 후보는 '선진대국 시대 비전'을 통해 기득권 구조 해체와 제도 전면 개편을 핵심으로 내세우고 있다. '100+1 국가대개혁 비전'을 통해 ▲공무원 정원 감축 ▲지방의회 폐지 ▲사형제 부활 ▲간첩죄 구성요건 확대 ▲수능 정시 100% 전환 ▲모병제 확대 등 행정·사법·교육·안보 전반의 구조 재편안을 강조했다.
복지 부문에서도 ▲노인 반값 병원 제도 도입 ▲노인 공공일자리 200만 개 확대 ▲아동수당 지급 확대 등 기존 복지 제도의 방식 자체를 손보는 방향으로 제시했다. 단편적인 지원보다 복지 전달 체계와 기존의 일방적 수혜 구조 자체를 바꾸겠다는 입장이다.
경선이 본격화될수록 두 후보의 차이는 정책 구성을 넘어 보수 유권자들의 지향점에 대한 본질적 선택지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지지층을 구축하는 방식 역시 각 후보 별로 다를 것으로 예상돼 향후 경선 구도를 관통하는 핵심 갈등축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해석이 나온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