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5월2일을 임시공휴일을 지정하는 것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는 삽화. /삽화=이미지투데이
정부가 5월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것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최장 6일에 달할 것으로 기대됐던 5월 초 '황금연휴'는 무산될 전망이다.

23일 뉴스1에 따르면 정부는 5월2일 임시공휴일 지정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


올해 5월1일 근로자의 날은 목요일이다. 3~4일은 주말이며 5일은 어린이날이자 부처님 오신 날, 6일은 대체 공휴일이다. 사이에 낀 2일 금요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최장 엿새까지 쉴 수 있는 황금연휴가 된다. 그러나 기재부가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서 5월 초 황금연휴는 무산될 전망이다.

정부는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른 내수 진작 효과에 회의적이다. 설 연휴였던 지난 1월27일에도 내수 진작을 위해 임시공휴일을 지정했으나, 결과적으로 해외여행만 늘어났기 때문이다. 지난 1월 내국인 출국자 수는 297만5191명으로 전년 같은 달(277만 3675명) 대비 7.3% 늘었다. 반면 통계청의 속보성 지표인 나우캐스트에 따르면 임시공휴일이 포함됐던 1월 24~31일 국내 신용카드 사용액은 전주 대비 34% 줄었다.

오는 6월3일 조기 대선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된 만큼, 2개월 연속으로 임시공휴일을 지정하는 것 역시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임시공휴일 지정을)따로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