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28일 오전 10시쯤 서울 종로구 광화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작업 중지권 쟁취와 안전한 일터를 요구했다.
이들은 "일하는 노동자는 누구나 산재보험을 적용받고 산재 발생 시 산재 인정과 처리 과정이 원활하게 지원해야 한다"며 "그러나 비정규직, 하청, 특수고용, 이주 등 산재보험 사각지대는 여전하고 산재 불승인과 처리 지연 장기화 등의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세계 산재 노동자의 날은 1993년 태국 한 인형공장에서 188명이 사망한 사건에서 시작됐다. 당시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는데 노동자들이 인형을 훔쳐 갈 것을 우려해 공장주가 문을 폐쇄했고 사망자가 크게 늘었다. 이후 산재 노동자에 대한 추모가 전 세계로 확산하면서 국제노동기구(ILO)와 유엔, 영국, 스페인, 호주, 미국, 태국 등 여러 국가가 기념일로 지정했다.
올해는 우리나라에서 세계 산재 노동자의 날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뒤 첫 번째 해다. 지난해 9월 국회 본회의에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개정해 4월28일을 산업재해근로자의 날로 지정했다.
앞서 민주노총은 지난 14일부터 2주 동안 온라인추모관과 오프라인 서명운동을 통해 '모든 노동자의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할 권리'를 주장할 4·28 선언 참여자를 모집해왔다.
이날 민주노총은 21대 대선을 맞아 노동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노동자 안전권과 건강권의 차별 없는 보장 ▲위험작업 중지권과 노동자 참여 실질적 보장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엄정 집행 및 전면 적용 ▲ 사고·과로사 예방을 위한 인력 기준 법제화 ▲치료·보상이 보장되는 산재 제도 전면 적용 등 5가지 요구사항을 주장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