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공동어시장 전 대표가 구속되자 어시장 관련인들이 발끈하고 나섰다.
부산공동어시장과 수협중앙회, 5개 회원 주주수협, 부산공동어시장 중도매인협동조합·소매인번영회·직원노동조합, 부산항운노조 어류지부는 29일 '부산공동어시장 부실 사태 해결과 수산물 유통 정상화를 위한 공동 입장문'이라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박극제 부산공동어시장 전 대표는 지난 24일 20억원 대금 미회수 사건과 관련해 배임 혐의로 구속됐다. 부산공동어시장은 지난해 6월 소속 중도매인 2명이 파산하면서 20억원 상당의 대금을 회수하지 못했다. 이 과정에서 박 전 대표가 어시장의 보증금 명목인 '수산물 구매 대금' 관련 규정을 지키지 않아 부산공동어시장 법인에 손해를 끼쳤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이에 대해 부산공동어시장 관계자들은 "근본적인 원인 해결 없이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구속이라는 극단적인 조치를 취한 것은 사태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며 박 전 대표가 향후 시장 개선과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이들은 "매수한도 관리 강화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일률적인 매수한도 축소는 현재 부산공동어시장 위판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신선 위탁물의 당일 유통을 어렵게 해 사회적 비용증가와 급격한 어가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성어기, 주말, 휴일 등에는 현행 매수 한도만으로는 원활한 거래가 어려운 상황이며 어대금 회수에도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며 "이는 신선 수산물 유통에 심각한 차질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위탁어업인과 중도매인, 항운노조, 소매인 등 관련 산업 전반에 걸쳐 경영난과 생존 위가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어가 안정과 과도한 신용거래 방지를 통한 시장 정상화를 위해서 중도매인 신용한도제도 도입, 중도매인 유동성 확보 기준의 현실화 등 객관적 기준에 기반한 시장질서 확립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