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넥스원이 기상청·우주항공청 및 한국기상산업기술원과 3207억5400만원 규모의 '천리안위성 5호 개발 협약'을 맺었다. 사진은 천리안위성 5호 형상. /사진=LIG넥스원
국내 세 번째 기상위성이자 첫 민간주관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위성 5호'의 개발사업이 본격화 된다.

1일 LIG넥스원에 따르면 기상청·우주항공청 및 한국기상산업기술원과 3207억5400만원 규모의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천리안위성 5호) 개발 협약'을 체결했으며 2031년까지 시스템 및 본체 개발이 진행된다.


천리안위성 5호는 2031년 발사돼 적도 상공 약 3만6000㎞ 고도에서 24시간 실시간으로 기상·우주기상을 관측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기상위성으로 활약할 전망이다. 정지궤도 위성개발 사업 최초로 민간기업이 개발을 주관하는 K-우주시대의 마중물 역할도 기대된다.

LIG넥스원은 천리안위성 5호 시스템 및 본체 개발 사업의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서 기상청, 우주항공청, 한국기상산업기술원, 항공우주연구원 및 협력회사와의 긴밀한 공조 아래, 세계 최고 수준의 고품질 기상 서비스의 기반이 될 고정밀 정지궤도 플랫폼의 위성개발을 완수할 계획이다.

LIG넥스원은 2006년부터 고성능영상레이다(SAR)를 비롯한 기반기술 확보에 매진해왔다. 정지궤도공공복합통신위성(천리안위성 3호),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다목적실용위성 5호·6호, 군위성통신체계(ANASIS-I/II) 및 초소형위성체계 사업에도 참여하며 위성시스템 전 분야를 아우르는 핵심역량을 축적했다.


자체 투자를 통해 대전하우스 위성 체계종합·시험동이 올 상반기 중 완공되면 미래 우주산업에 특화된 개발 인프라가 대폭 강화될 전망이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20년 가까이 축적해온 위성 탑재체, 본체, 지상체 개발경험을 기반으로 위성시스템 통합개발 역량을 한층 강화하는 것은 물론 위성 활용 분야까지 사업영역 확장을 추진할 것"이라며 "나아가 K-우주산업의 해외시장 진출 및 민간 주도 위성 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