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SK텔레콤 로밍센터에서 여행객들이 유심 교체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사진=뉴스1
SK텔레콤이 해외 출국자 중 유심을 교체하지 못한 가입자가 유심 복제 등에 따른 추가 피해를 겪을 시 100%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3일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삼화빌딩에서 브리핑을 열면서 이 같이 발표했다. 브리핑에는 김희섭 PR센터장, 임봉호 MNO사업부장, 류정환 네트워크인프라센터장이 참석했다.


김 센터장은 유심 교체를 위해 대기하는 고객들에게 "기다리게 해서 죄송하다"며 "특히 오늘부터 연휴이다보니 출국 전 공항 로밍센터에 많이 몰려 대기줄이 길었다"고 말했다.

류 센터장은 "1차로 비정상인증 차단 시스템(FDS)을 통해 감시하고 있다"며 "이게 유심보호서비스와 결합하면 보다 확실한데 (해외 로밍시 이용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불안하니 피해가 발생하면 책임을 지겠다"고 강조했다. FDS는 누군가 불법으로 복제된 유심으로 통신망 인증 시도를 할 경우 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김 센터장은 "연휴 기간 SK텔레콤을 비롯한 직원 1160명 정도가 유심 교체 등을 담당하는 2600여개 매장에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이어 "공항 로밍센터에는 임직원 700여명이 매일 현장을 지원한다. 공항이 문 여는 새벽 5시부터 3교대 근무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SK텔레콤은 오는 14일부터 제공하는 유심보호서비스2.0부터 해외 로밍 중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선한다. 유심보호서비스는 유심을 복제해 다른 단말로 기기 변경하는 시도를 차단하는 보안 시스템이다.

류 센터장은 "유심보호서비스의 경우 국내에선 정상과 비정상인 상황을 구분할 수 잇는 로직을 갖췄다"며 "현재는 우리 망에 접속하는 단말에 한해 이를 구분할 수 있고 해외에서는 어렵다"며 "2.0버전부터 인공지능(AI) 기법을 통해 국내에 한정된 것을 해외망에서 구분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현재 유심 교체 예약자는 740만명 정도다. 이와 관련 김 센터장은 "이달 말까지 500만장의 유심이 순차 들어온다"며 "모든 대리점에 한 번에 공급하는 게 아닌 데다 유심을 교체하는 데 작업해야 하는 절차가 있어 하루 교체량에 한계가 있다"며 양해를 구했다. 그러면서 "이달 보름까지 유심 부족 현상이 계속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