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전북자치도청 앞에서 도내 8개 시군 주민들과 환경단체가 '송전탑건설백지화 전북대책위 출범식' 기자회견을 열었다./사진=뉴스1
전북지역 8개 시군 주민들과 도내 환경단체가 한국전력 송전선로 건설 사업 반대를 위한 대책위원회를 출범했다.

송전탑건설백지화 전북대책위(대책위)는 7일 전북자치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는 전북의 산과 들, 마을과 공동체 주민들에게 고통을 강요하는 34만5000볼트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 계획에 맞서기 위해 대책위를 출범한다"고 밝혔다. 한국전력은 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에 따라 전주시를 제외한 전북 13개 시군에서 627km 길이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대책위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한국전력의 송전선로 건설에 대해 주민들은 아무것도 들은 것이 없다"며 "갑자기 열린 주민설명회에서도 지도 한 장이 공개됐을 뿐이었고 입지 선정위원회조차 공무원이 주민으로 둔갑하는 등 불법과 꼼수로 운영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송전선로는 지역이 아닌 서울과 수도권을 위해 쓰인다"며 "경관 훼손, 전자파 우려, 환경 파괴, 지가 하락 등 모든 피해는 송전선로가 지나가는 지역 주민들에게 떠넘겨진다"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한전은 법과 원칙, 민주적 절차를 무시하고 있는 송전탑 건설을 당장 백지화하라"며 "송전선로를 땅속에 설치하는 지중화 사업이나 전기를 사용하는 기업이 지역으로 내려오는 등 대안부터 논의하라"고 전했다.

한국전력은 2023년 5월 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을 수립하고 전력망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2036년까지 안정적인 전력망 확보를 위해 서해안과 호남지역 전력을 수도권으로 수송하는 전력 인프라 구축이 골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