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팜이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444억원, 영업이익 257억원을 달성했다. /사진=SK바이오팜
SK바이오팜이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의 미국 직판(직접 판매) 효과가 본격화되며 올 1분기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SK바이오팜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444억원, 영업이익 257억원, 당기순이익 19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9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각각 26.7%, 149.3%, 102.3% 증가했다.


전 분기 대비 매출은 다소 감소했는데 이는 일회성 마일스톤(중국 NDA 제출 관련 수익) 소멸과 계절적 비수기, 외부 유통 채널의 구조조정 등 일시적 요인에 따른 것이라는 설명이다.

엑스코프리의 1분기 미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6.7% 증가한 1333억원을 기록했다. 엑스코프리의 처방 수는 지난 3월 이후 빠른 반등세를 보였다. 1분기 월평균 신규 환자 처방 수(NBRx)가 처음으로 1600건을 넘어서며 성장세가 다시 탄력을 받고 있어 2분기 이후 매출 성장 가속화로 이어질 것을 기대하고 있다.

이번 성과는 미국 내 직판 플랫폼과 특화된 세일즈 전략이 결합된 결과다. 현지 영업 인력을 중심으로 한 NBRx 콘테스트 등 마케팅 강화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SK바이오팜은 빠르면 오는 5월부터 미국 내 첫 DTC(Direct-to-Consumer) 광고 캠페인을 통해 엑스코프리의 인지도를 확대하고 환자 접점을 강화할 예정이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적응증 및 연령 확장을 통해 시장 확대도 노리고 있다. 연내에 부분 발작을 넘어 전신발작(PGTC)으로의 적응증 확장에 대한 임상 3상 탑라인 결과를 확보하고 소아 환자의 복용을 쉽게 하는 현탁액 제형을 개발해 NDA(신약허가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의약품 관세 불확실성과 관련해 이미 미국 내 추가 위탁생산(CMO) 시설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절차를 완료하고 약 6개월 분량의 재고 확보에서 추가적으로 늘려가는 등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은 "엑스코프리는 미국 직판 체계를 기반으로 더욱 정교하고 유기적인 환자 중심 접점 확대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며 "공격적인 마케팅과 적응증 확대를 통해 미국 시장 내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