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전 총리는 11일 오전 9시30분 서울 여의도 캠프 사무실 기자회견에서 "부족한 제게 한평생 국가를 위해 일할 기회를 주신 데 감사드린다"며 "김 후보와 지지자분들이 이번 대선에서 승리하시기를 기원한다.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돕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가 후보 지위를 회복한 것에 대해 승복의 뜻을 나타냈다.
국민의힘은 지난 10일 오전 10시부터 밤 9시까지 ARS 형식으로 한덕수 후보로의 후보 변경에 찬성 여부를 묻는 당원 투표를 진행한 결과 과반 동의를 얻지 못해 부결되면서 김 후보를 다시 공식 당 대선 후보로 복귀시켰다.
한 전 총리에 대한 당원들의 지지가 높았고 11일 이전 단일화에 대한 여론이 있었지만 당 지도부가 무리하게 후보 교체에 돌입하면서 역풍을 맞았다는 분석이다. 한덕수와 김문수 중 대선 후보로 경쟁력을 판가름하는 것이 아니라 이례적인 후보 교체에 대한 찬성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로 변질된 탓이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후보 등록 전 단일화' 여론이 높다며 김문수 후보의 대선 후보 결정 이후 줄곧 압박 공세를 강화했다. 당심이 유리하게 흘러가자 지난 9일 밤 단일화 실무협상이 결렬되자마자 10일 새벽 곧바로 '강제 단일화' 작업에 돌입했다.
절차적 정당성이 흔들릴 만큼 이례적인 행보였다. 새벽 1시 김문수 후보 선출을 전격 취소하고 곧이어 새로운 대선 후보 등록 신청을 받았는데 접수 시간은 오전 3시부터 4시까지 한 시간에 불과했고 이마저도 국회본청 현장접수였다. 접수 서류도 이력서·자기소개서·당적확인서·가족관계등록부·주민등록등초본·병적증명서·재산보유현황서·체납증명현황서·전과기록증명제출서·범죄경력회보서 등 32개나 됐다.
해당 사실이 알려지면서 당내에선 성토의 목소리가 줄을 이었다. 안철수, 한동훈, 나경원 등 대선 경선에 참여했던 의원들은 물론 배현진, 조경태 의원 등도 정당 민주주의를 해쳤다며 지도부를 강력 비판했다.
김 후보 측은 즉각 서울남부지법 민사합의51부에 대통령 후보자 선출 취소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하며 맞불을 놓기도 했다. 하지만 전당원투표에서 당원들이 한덕수로의 교체를 거부하면서 후보로 복귀했고 가처분 신청도 취하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