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서울=뉴스1) 한재준 기자 = 6·3 대통령 선거 주요 주자들 중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호감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의 호감도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보다 낮았다.


한국갤럽이 뉴스1 의뢰로 지난 12~13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에게 '주요 대선 주자 호감도'를 물은 결과 '이재명 후보에게 호감이 간다'는 응답 비율이 48%로 14일 나타났다.

김 후보는 35%, 이준석 후보는 28%로 집계됐다.

호감도란 조사 대상에 대해 응답자들이 어떤 감정(긍정 또는 부정)을 갖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로, 호감도가 높다는 것은 향후 지지층 확장의 가능성, 즉 정치적 확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이재명 후보의 비호감도는 49%로 호감도와 비슷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40대와 50대에서 호감도가 각각 66%, 67%로 높았다. 반면 20대(18~29세)와 30대, 60대 이상에서는 비호감 비율이 50%를 상회했다.

중도층에서는 이재명 후보에 대한 호감도가 54%로 비호감(44%)을 앞섰다.

이런 가운데 김 후보는 비호감도가 62%로 호감(35%)보다 높았다.

7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비호감 응답 비율이 우세했다. 70세 이상 고령층에서 김 후보에 대한 호감도는 64%로 집계됐다.

김 후보는 보수 진영 텃밭으로 칭해지는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PK)에서도 호감도와 비호감도 비율이 팽팽했다.

TK에서는 호감 49%, 비호감 48%로 나타났다. PK에서는 호감과 비호감 비율이 각 50%로 집계됐다.

중도층에서는 김 후보에 대한 비호감도가 75%로 조사됐다.

한편 이준석 후보는 비호감도가 67%, 호감도가 28%였다.

이 후보가 공을 들이고 있는 20대에서 이 후보의 호감도는 39%, 비호감도는 51%로 집계됐다.

보수층에서의 호감도는 33%, 비호감도는 65%였다. 중도층에서는 각각 29%, 67%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가상번호)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p), 응답률은 18.9%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