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차량 간, 차량과 도로 인프라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데이터 형식을 통일한 것으로, 차량 제조사에 관계없이 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교통 신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5일 경기도에 따르면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산하 경기도자율주행센터는 지난 2020년부터 자율주행차 데이터 표준화 연합체인 'K-동맹'에 참여하며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와 긴밀히 협력해 왔다. 그 결과, 개발된 자율주행차 데이터 표준은 2023년 판교제로시티에서 운행 중인 자율주행 대중교통 '판타G버스'에 우선 적용되어 실도로 환경에서의 검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당시 적용된 표준은 KS R1600 시리즈 중 '차량 안전 기본 메시지'로, 관제 센터와의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했다.
지난 3월 국토교통부가 KS R1600 시리즈 7종을 모두 제정한 이후 도는 해당 표준을 판교제로시티 도로인프라, 통합관제센터에 전면 반영했다. 현재 판교제로시티에서 운영 중인 판타G버스 등 자율주행 실증차량은 KS 표준 기반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며 통합관제센터와 연동해 운행한다.
이로써 판교제로시티는 2021년부터 적용해 온 미국자동차기술협회 국제 표준인 J2735와 함께, 국내 자율주행 데이터 표준(KS)까지 모두 적용한 국내 유일의 실도로 기반 표준 실증단지가 됐다.
경기도자율주행센터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메시지 표준에 이어 통신 표준까지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12월 제정한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 통신 표준 방식인 'LTE-V2X'를 올해 하반기 판교제로시티 전역에 전면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정한규 경기도 첨단모빌리티산업과장은 "판교제로시티는 자율주행 기술의 표준을 현장에서 구현하고 있는 대표 사례"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