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명보호가 9월 A매치 때 미국에서 미국, 멕시코와 평가전을 갖는다. 이제 본격적인 월드컵 모드다. (대한축구협회 제공)


(서울=뉴스1) 임성일 스포츠전문기자 = 11회 연속 월드컵 진출까지 승점 1점만을 남겨놓은 홍명보호가 '본선모드'에 돌입했다. 다가오는 9월 A매치 기간 원정 평가전을 잡았는데, 장소도 상대도 안성맞춤이다.


대한축구협회는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축구대표팀이 오는 9월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이 열리는 미국 현지에서 대회 공동 개최국인 미국, 멕시코와 차례로 맞붙는다고 14일 밝혔다.

대표팀은 먼저 현지시간 9월 6일 17시(한국시간 7일 06시) 뉴저지의 레드불 아레나에서 미국과 평가전을 갖는다. 이어 9일 멕시코과 대결하는데 장소와 킥오프 시간은 조금 더 조율 중이다.

KFA가 9월 일정을 알린 날 미국축구협회도 한국·일본과의 2연전을 공지하며 "아시아 강호들과의 평가전은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앞두고 전략적 준비를 할 수 있는 중요한 무대"라고 밝혔다. 일본축구협회도 한국과 교차된 멕시코-미국 순서의 평가전 스케줄을 같은 날 공개했다. 미리 협의해 네 나라가 발표 날짜를 맞췄다.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예선을 진행 중인 홍명보호는 4승4무 승점 16점으로 B조 선두를 달리고 있다.

요르단이 2위(3승4무1패 승점 13)고 이라크가 3위(3승3무2패 승점 12)다. 대표팀은 6월6일 이라크 원정 9차전 10일 쿠웨이트와의 홈 최종전에서 승점 1점만 추가해도 자력 진출에 성공한다. 이젠 본선에 초점 맞출 때고 그래서 9월 평가전은 의미가 있다.


월드컵 개막이 1년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현지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이다. (대한축구협회 제공)


월드컵 개막(2026년 6월)이 1년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현지답사를 겸할 수 있고 오랜만에 '월드컵 본선 레벨'이라 부를 수 있는 강호와 겨뤄 우리 대표팀의 현주소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까지, 영양가 있는 일정이 잡혔다.

평가전을 추진한 대한축구협회 조준헌 월드컵지원단 운영팀장은 뉴스1에 "미국과 멕시코가 월드컵 개최국이기에 많은 나라들이 그들과의 현지 평가전을 원했다. 아무래도 선택권은 그쪽에 있었는데, 우리와 일본으로 결정됐다. 좋은 성과가 나와 기쁘다"고 전했다.

지난해부터 작업한 결과였다. 조준헌 팀장은 "6월로 아시아 예선이 끝나면 곧바로 본선을 대비해야 하는데 그때 가서 평가전 상대와 장소를 찾으면 늦어도 너무 늦는다. 지난해 이맘때부터 9월 A매치 상대를 물색했다"고 말했다.

이어 "개최국 자격으로 출전이 이미 확정된 미국과 멕시코는 보다 여유롭게 자신들에게 도움이 될 스파링 파트너를 찾았는데, 알아본 결과 9월은 아시아 국가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면서 "일본과 함께 적극적으로 움직였고, 매치가 성사됐다"고 과정을 설명했다.

'2026 북중미 월드컵'은 본선 진출국이 기존 32개에서 48개국으로 확대돼 치러지는 첫 월드컵이고 알려진 대로 미국, 멕시코, 캐나다에서 나뉘어 열린다. '공동 개최'지만 개최도시 숫자는 미국 11곳, 멕시코 3곳, 캐나다 2곳으로 차이가 크다.


KFA는 본선 개막까지 남미, 유럽, 아프리카 등 모든 대륙 국가들과의 평가전을 추진 중이다. (대한축구협회 제공)


조 팀장은 "조편성에 따라 우리가 조별리그를 치를 장소가 결정되겠지만 아무래도 미국 도시가 훨씬 많으니 미국에서 경기할 확률이 높다"면서 "이번 평가전이 열리는 경기장이 월드컵 베뉴는 아니지만 그래도 현지 환경을 미리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이다. 도시는 바뀔 수 있으나 멕시코전도 미국에서 한다"고 설명했다.

아시아 예선은 마무리 단계지만 다른 대륙은 10월, 11월까지 본선 진출국을 가리는 과정이 이어진다. 아직 물음표인 팀들이 많아 평가전 잡기가 더 까다롭다. 상황이 유리해보여 논의했는데 탈락하면 난감하다. 본선에 오른 국가끼리 만나야 서로 진심으로 임한다. 어쩌면 본선에서 만날 수도 있다.

조 팀장은 "본선에 오른 국가들에게 직전 년도 9월, 10월, 11월 A매치 데이는 보다 특별하다. 아무래도 본선에 오른 팀들과 평가전을 잡아야하는데, 쉽지 않은 작업"이라면서 "타 대륙의 예선 과정을 잘 살펴보면서 빠르게 움직여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소위 축구 강국들에게 한국은 냉정하게 말해 매력적인 스파링 파트너는 아니다. 또 유럽이나 남미 국가들에게 아시아 원정은 너무 멀어 초청하기도 어려운 입장"이라고 현실적 고충을 전했다.

하지만 "주어진 조건 속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지금도 다음 평가전을 위해 물밑작업 중이다. 월드컵 개막 전까지 남미와 유럽, 아프리카 등 모든 대륙 국가들과 평가전을 치르겠다는 계획으로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