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은 광주광역시,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유네스코(UNESCO), 광주시 교육청이 공동 주최하며 세계 각국의 인권 전문가 등 1500명이 참석했다.
올해 포럼은 '평화와 연대: 전쟁과 폭력에 저항하는 인권 도시'를 주제로 17일까지 진행된다.
첫날은 강 시장의 개회사와 서승 우석대학교 석좌교수의 '저항의 도시로 우뚝 서는 광주' 주제 기조 강연, 전체 회의, 평화 구축 연대 방안 등이 열렸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대한민국 민주시민들은 맨몸으로 장갑차를 막아서고 맨손으로 총구를 움켜쥐며 가장 위헌적인 내란 세력을 가장 민주적인 방법으로 막아냈다"며 "12·3 비상계엄을 이겨낸 오늘의 민주주의는 45년 전 5·18의 유산"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쟁과 폭력으로 세계가 고통받고 있는 현실이지만 우리는 이를 이겨낼 수 있는 더 큰 희망이 있다"며 "그 어떤 전쟁과 폭력도 반대하며 평화와 혁명을 함께하는 전 세계 인권 도시들이 더욱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서승 교수는 1980년 5월 신군부에 맞서 싸운 광주시민의 분노와 저항을 조명하며 "광주는 인류사에 '권력에 저항한 도시'로 오래 기억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 회의에서는 동물행동학자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가 '반평화적 상황과 인권공동체의 미래'를 주제로 기조 발제를 했다. 인권, 생태, 평화의 접점을 짚으며 생물다양성과 인권이 교차하는 시대의 비전을 제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주제 회의, 특별회의, 네트워크 회의, 국제 인권 연수 등을 통해 다양한 인권 쟁점을 다룬다.
주제 회의는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사회적 경제 △어린이·청소년 △장애 △이주 △여성 △마을과 인권 △지구촌 반폭력 등 7개 이슈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특별회의에서는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기념해 국가폭력 등 다양한 폭력에 저항해 온 항쟁 도시 사례를 공유한다. 유네스코 아태지역 차별반대도시연합(APCAD) 회의, 인권 논문 발표 등이 이어진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