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가 '2025 발명의 날' 행사를 열고 미래 모빌리티를 선도할 우수 기술 아이디어를 발굴했다. /사진=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기아가 21일 경기 화성시 소재 남양연구소에서 미래 모빌리티를 선도할 우수 기술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임직원들의 창의적인 연구 개발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사내 특허 경연대회인 '2025 발명의 날'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현대차·기아에 따르면 올해 16년째를 맞은 발명의 날 행사는 현대차·기아 연구원들의 우수 신기술 발명·출원을 적극 지원하고 미래 핵심 기술을 선제 확보하는 동시에 글로벌 연구개발 지식 재산권을 확대하기 위해 매년 시행된다.


올해 시상식은 '발명의 날 60주년'을 맞아 김완기 특허청장이 참석, 발명 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한 우수 특허 출원자에 대한 표창도 실시했다.

특허청창 표창은 최근 10년 동안 최고 등급 특허를 가장 많이 출원한 차동은 AVP개발전략실 책임연구원에게 수여됐다. 차 책임연구원은 모빌리티와 거주 공간을 연결하는 기술 등 총 15건의 우수 특허를 출원해 미래 핵심 기술 확보에 기여했다는 평가다.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사내에서 출원된 발명 특허와 프로젝트 약 3000건을 엄격히 평가해 ▲실적 보상 2건 ▲우수 특허 8건 ▲우수 i-LAB 2건 등을 각각 선정했다.


실적 보상은 현대차·기아 제품에 적용된 등록 특허 중 상품성, 성능 등 차량 기술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특허 출원자를 포상하는 제도다.

올해는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의 전·후진 회피 조향 제어 기술(서길원 책임연구원) ▲배터리 셀 카트리지 및 배터리 모듈 조립체(최준석 책임연구원) 등이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시상대에 올랐다.

현대차·기아는 특허성, 기술 개발 선행도, 독창성 등을 기준으로 최우수상 2건, 우수상 2건, 장려상 4건을 우수 특허로 시상했다.

최우수상은 ▲모터·인버터 일체형 냉각 구조(이감천 책임연구원) ▲배터리 건강 상태 정밀 진단 및 사용자 표출 시스템(이우주 책임연구원) 등이 수상했다.

현대차·기아는 임직원들의 창의적인 연구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사내 발명자, 특허 담당자, 전문 특허사무소와 함께 유망한 특허 포트폴리오를 선제 확보하는 인큐베이팅 프로젝트 'i-LAB'을 운영하고 있다.

이날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운영된 총 150여건의 i-LAB 활동 가운데 우수 특허 건수, 특허 정보 제공, 전략 연계 방향성 등을 평가해 ▲전고체 배터리 소재 개발 ▲자율주행·자율주차 인지 기술 개발 등 최우수상 2건도 시상했다.

양희원 현대차·기아 R&D본부장(사장)은 "올해 발명의 날은 특허청과 함께 자동차 산업의 중요성과 발전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보여주는 행보라고 생각한다"며 "연구원들이 열정과 자신감으로 끊임없이 시대에 맞는 연구와 발명을 이어가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