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후보는 2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경제 5단체장 간담회'에 참석해 "저는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 것"이라며 "정부는 기업을 도와 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만들고 민생을 살릴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외국을 가는 것보다 한국에 있어야 이익이 되는 환경을 만드는 게 대통령이 해야 할 첫 번째 일"이라며 "제가 생각하는 부분에 대해 분명히 추진할 것을 약속한다"고 공언했다.
이번 자리에는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손영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 윤진식 한국무역협회 회장,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 등도 참석했다. 이들은 김 후보에 기업 및 경제 성장 방안에 대해 제언했다.
최태원 회장은 한국과 일본의 경제연합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한일경제연합으로 경제 사이즈와 보이스를 키우면 저희도 룰을 만드는 룰 세터가 될 수 있다"며 "한국의 경제 (규모는) 1조7000억달러인데 일본과의 경제연합으로 6조달러 이상의 크기를 이룰 수 있다"며 "여기서 새로운 경제 해법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고 했다.
내수 진작을 위해 해외 우수 인재를 유치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최태원 회장은 "내수 진작을 위해 여러 가지 해법이 있으나 해외의 고급 두뇌를 유치하는 게 가장 좋다"며 "저출생과 고령화로 인해 생산 인구가 줄고 미래에 필요한 첨단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선 500만 정도의 해외 고급 두뇌 유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소프트웨어 산업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놨다. 최태원 회장은 "상품수지만으론 경제를 지탱하기 어려워졌다"며 "잘하고 있는 K컬쳐를 포함해서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산업화할 필요성이 있다"며 "K컬쳐 등이 실제로 산업화가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는데 (문화 및 소프트웨어) 산업화를 높이면 현재 수출 위주 형태였던 게 새롭게 될 수 있다"고 했다.
손경식 회장은 법정정년연장과 근로시간 유연화, 노란봉투법에 대해 발언했다. 기업 대부분이 호봉제를 운영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률적인 법적정년연장은 청년층의 신규 채용 기회를 줄이고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를 심화할 것으로 손경식 회장은 내다봤다. 근로시간 유연화와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에 대해서는 각각 획일적인 방향으로 나가서는 안 된다, 산업 생태계 붕괴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손경식 회장은 "정년연장보다는 퇴직 후 재고용 방식으로 고령자 고용 확대와 세대 간 균형을 도모할 수 있는 정책 검토가 필요하다"며 "근로시간 문제는 노사합의를 통해 기업이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고민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그러면서 "노동조합법이 개정되면 원청을 하청 노사관계 당사자로 끌어들이게 돼 우리 산업의 생태계마저 붕괴시킬 우려가 있다" 부연했다.
김 후보는 경제 5단체장의 제언을 청취한 뒤 "경제 5단체장들이 말씀하신 건 제 생각과 전적으로 같다"며 "더 말씀드릴 필요도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업이 자유롭게 말하지 못하는 분위기가 있는데 제가 대통령이 되면 대통령실 안에 기업의 민원 전담 담당 수석을 둬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