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GPU 확보 사업과 관련해 중소기업에도 기회를 열어줘야 한다는 지적이 업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AI) 혁명의 핵심 인프라로 꼽히는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 사업'에서 중소기업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지난 16일 서울 LW컨벤션센터에서 국내 클라우드 기업을 대상으로 '첨단 GPU 확보·구축' 추진 방안 설명회를 열었다. 이번 주 중 공모 절차에 들어갈 계획이나 현재까지도 중소기업의 참여를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은 제시하지 않은 상태다.


이번 사업은 약 1만장 규모의 고성능 GPU를 확보해 국내 AI 산업 생태계를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정부는 이 GPU를 신속하게 구매·설치·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기업(CSP)을 공모를 통해 선정할 예정이며 사업자 선정은 오는 7월로 예정돼 있다.

과기정통부는 그동안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과 함께,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 및 생태계 전반의 균형 있는 성장을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다양한 수요 기업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도 강조해 왔다.

하지만 실제 사업 추진 과정에서는 대기업 중심으로 사업이 설계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GPU 수요 기업인 중소·벤처기업들은 공고 전 사전 설명회와 의견 수렴 과정에서 "실제 서비스를 운영하거나 GPU 자원이 절실한 기업들이 배제된 채, 인프라 제공 기업 간 경쟁만 부각되고 있다"며 우려를 제기해왔다.


이번 공모에서 중소기업의 참여를 위한 컨소시엄 구성 방식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조차 나오지 않으면서 중소기업계의 불만은 더욱 커지고 있다. 중소·벤처계는 이번 사업이 단순한 장비 구매가 아니라 국가 전략 산업의 기반을 다지는 일이기에 대규모 인프라를 운용할 수 있는 주요 CSP뿐 아니라, AI 산업 생태계의 풀뿌리인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스타트업 중에도 GPU 구매와 운영 역량을 갖춘 기업이 많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구성하는 컨소시엄 방식으로 정부의 첨단 인프라 지원 정책이 다양한 규모의 기업들이 공존할 수 있는 생태계를 지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