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후보는 "무기든 적보다 더 위험한 건 사이버공격과 산업스파이"라며 "국가 핵심기술을 유출하거나 국민 불안을 조장하는 세력까지 간첩으로 규정하겠다"고 밝혔다. 현행 형법 제98조(간첩죄)의 개정을 통해 ▲기술 유출 목적의 정보 침투를 간첩행위로 명시하고 ▲문화·학술 교류를 빙자한 백색·회색 간첩까지 처벌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아울러 국가핵심기술 보호 전담조직 신설도 공약에 포함됐다.
또 다른 축은 사이버 안보 역량 강화다. 김 후보는 ▲화이트해커 1만 명 양성, ▲사이버안보법 제정, ▲사이버·우주 통합 작전체계 확립, ▲정보기관 내 준법감시관 도입 등 보이지 않는 전장에서의 방어 역량을 국가 전략 차원에서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동시에 김 후보는 AI 기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도입, 방산 수출 4강 진입, 군복무 경력의 민간 인정, 전문자격 취득 및 창업 지원, 초급 간부 처우 개선 등 첨단·실용·미래형 군대 모델을 제시했다. 복무 중 AI·드론·전자전 관련 교육을 강화하고, 복무 경력을 기업이 인정하면 세제 혜택을 부여하는 구조다. 병력이 줄어드는 시대에 군대는 단순한 병역의무를 넘어서 첨단 인재 양성기관이자 안보산업 플랫폼이 돼야 한다는 취지다.
이외에도 김 후보는 ▲군 가산점제 남녀 불문 도입, ▲여성 전문군인제 도입, ▲PMC(민간군사기업) 활용을 통한 외곽지원 민간화, ▲국방부 문민화 확대 및 정치적 중립 보장, ▲대통령실 직속 국가해양위원회 설치 등 군 구조 개편과 조직 운영 혁신 방안도 함께 발표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