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hc가 6월 초부터 가맹점주 자율가격제를 도입하기로 하면서 업계에 이중가격제와 치킨 가격 인상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치킨가게 앞 풍경. /사진=뉴시스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 1위 bhc가 6월 초부터 가맹점주의 자율가격제를 도입키로 함에 따라 이중가격제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치킨 가격 인상 권한을 점주에게 넘기고 가맹본사는 한발 물러나겠다는 꼼수라는 지적도 있다.

bhc는 지난 27일 전국가맹점주협의회와의 협상을 통해 6월 초부터 자율가격제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가격 인상 및 인하 폭이 권장가에서 2000원을 넘지 않을 것을 요청했다.


치킨 업계 1위 업체가 선도적으로 자율가격제를 시행함에 따라 업계는 자율가격제가 시장 전반으로 확산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소비자 가격 혼란 및 인상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프랜차이즈 관계자 A씨는 "치킨 가격 인상으로 비판받을 것을 각오하고라도 자율가격제를 시행하는 것은 배달수수료가 너무 높아 자영업자의 수익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라면서 "고육지책이란 생각만 들지만 프랜차이즈 본사가 아무것도 안 하고 있는 것보다는 낫다"고 씁쓸히 말했다.

외식업계 관계자 B씨는 "가맹점주가 치킨가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되면 양대 배달플랫폼, 자사 배달플랫폼, 내방객 등의 가격을 모두 다르게 책정할 수 있다"며 "사실상 이중가격제가 양지화되는 셈"이라고 짚었다.


다른 프랜차이즈 관계자 C씨는 "이중가격제는 피할 수 없고 이미 실행되고 있다"며 "지금까지는 문제 해결을 위한 초점이 늘 소비자에게만 맞춰졌는데 자율가격제는 가맹점주를 위한 제도라는 점에서 유의미하다"고 말했다.

플랫폼 관계자 D씨는 "자율가격제 시행으로 점주가 플랫폼마다 다르게 가격을 책정한다 해도 플랫폼 입장에서는 사실상 이를 막을 방법이 없을 것"이라고 조심스레 예측했다.

자율가격제로 가장 이득을 보는 것은 가맹본사라는 의견도 있다. 이중가격제 논란과 배달플랫폼 수수료 갈등에서 한발 물러날 수 있는 데다 가격 인상의 권한을 가맹점주에게 돌림으로써 그 책임 또한 전가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가맹본사가 점주들의 요청에 못 이겨 자율가격제를 시행하는 것처럼 포장했지만 실상은 배달앱 수수료 갈등에서 발을 빼고 가격 인상에 대한 비난의 화살을 점주들에게 돌리려는 꼼수"라며 "자영업자를 총알받이로 쓰고 프랜차이즈 본사는 표정관리를 하고 있을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은희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는 "자율가격제를 시행하게 되면 유동인구가 많은 리딩 매장은 메뉴 가격을 인상하게 돼 있다. 그렇게 되면 다른 업장들도 따라서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고 결국 소비자는 편의점이나 대형마트 등 대안을 찾아 나서게 된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배달플랫폼과 업주들 간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면 이중가격제는 피할 수 없고 이는 배달플랫폼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편리함을 누리는 대신 비싼 가격을 지불할지 좀 더 저렴한 가격을 위해 직접 치킨을 사러 갈지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