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남부와 북부에 각각 곳 씩 시범사업 대상지를 선정해 스포츠 복합몰과 공동직장어린이집 등 주민 친화형 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1일 밝혔다.
'미매각 용지'는 애초 학교·공공청사·도시지원시설·주차장·종교시설 등으로 계획했으나 오랫동안 매각하지 못해 방치한 토지다. 쓰레기 무단투기, 경관 저해, 치안 사각지대 등으로 입주 완료 주변 아파트 입주민의 생활 불편을 초래할 우려가 크다.
현재 경기도가 관리 대상으로 파악한 미매각 용지는 총 19개 지구 85곳으로 58만 9000㎡ 규모에 달한다. 이 가운데 남부권에는 12개 지구 65곳 39만7000㎡, 북부권은 7개 지구 20곳 19만2000㎡가 포함됐다. 화성 봉담지구 내 공공청사용지는 2008년 7월 준공 이후 현재까지 매각하지 못한 상태다.
이에 경기도는 이달 말까지 시와 시행자로부터 시범사업 후보지를 신청받아 8월 중 최종 대상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후 연말까지 구체적인 사업화 방안을 수립하고, 2026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한다.
시범사업은 지자체의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민관협력, 민간주도, 공공주도 등 다양한 방식을 검토한다. 스포츠 복합몰, 공동직장어린이집 등 주민 친화형 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또 경기도는 시범사업과 연계해 미매각용지 활성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도 추진한다. 사업화 전략, 우선순위 설정, 주민·시행자·지자체가 함께하는 협의체 구성 및 운영방안 등을 담은 실행계획도 수립한다. 연구용역은 2026년부터 본격 착수한다.
이명선 경기도 택지개발과장은 "그동안 미매각용지 활용은 시와 시행자에 일임돼 그 추진에 한계가 있었다"며 "앞으로는 경기도가 직접 중재자 역할을 하면서 합리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