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안태현 기자 = 지난달 27일 시즌3 6회가 전편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이 다시 한번 전 세계에서 신드롬급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넷플릭스가 지난 6월 23일부터 29일까지 이용자들의 시청수를 조사해 발표하는 전 세계 비영어권 TV쇼 주간차트 부문에서 '오징어 게임' 시즌3(이하 '오징어 게임3')는 6010만 시청수를 기록하면서 1위에 올랐으며, 시청 시간은 무려 3억 6840만 시간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오징어 게임3'는 자신만의 목적을 품고 다시 참가한 게임에서 가장 친한 친구를 잃고 만 기훈(이정재 분)과, 정체를 숨긴 채 게임에 숨어들었던 프론트맨(이병헌 분), 그리고 그 잔인한 게임 속에서 살아남은 참가자들의 마지막 운명을 그린 이야기로, 지난 2021년 9부작으로 공개된 시즌1과 2024년 공개된 7부작 시즌2를 잇는 시리즈의 피날레다.
배우 임시완은 극 중 가상화폐 유튜버로 활동하다 억대의 빚을 지고 게임에 참가하게 된 이명기 역을 연기했다. 게임 중 전 연인 김준희(조유리 분)가 임신을 하게 됐다는 것을 알게 된 뒤 김준희를 도우려 하지만, 계속해 앞서는 돈에 대한 욕망 탓에 결국 전 연인과 자신의 목숨까지 잃게 되는 인물이다. 임시완은 이러한 인물을 입체적으로 그려내면서 많은 시청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오징어 게임3'의 글로벌 흥행 속 연기력에 대한 호평까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임시완은 2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취재진을 만나 공개 기념 인터뷰를 가졌다. 그가 풀어놓는 이명기 캐릭터와 '오징어 게임3'의 흥행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N인터뷰】 ②에 이어>
-'오징어 게임'에 출연을 결심했을 때 성취하고 싶었던 목표가 있었나.
저는 '오징어 게임'을 통해서 뭔가를 얻고자 했던 건 딱히 없었다. 그것보다는 '오징어 게임'은 제가 시즌1이 나왔을 때 굉장히 재밌게 봤던 작품이었다. 그 재밌게 봤던 작품이 거의 신드롬급으로 세계에서 관심을 받는다는 게 되게 반가웠던 일이었다. 제가 팬이었던 작품에 출연할 수 있었다는 게 많이 설렜던 지점이었다. 출연을 했던 것만으로도 성취를 한 것 같고, 그 성취감에 가려 간과했던 게 명기가 나쁜 놈이었다는 거였다.(웃음)
-결말에 대한 호불호는 팬의 입장으로서는 어떻게 봤나.
▶시즌1의 팬으로서 시즌2, 3가 나왔다는 것만으로 감사하다는 생각이다. 물론 결말에 대해서 호불호가 있다는 것도 들어서 지금은 알게 됐지만, 그런 것도 충분히 있을 수 잇다고 생각한다. 다만 감독님께서 결말에 있어서 심도있게 고민을 하셨다는 지점은 믿어 의심치 않는다. 감독님이 치열하게 생각하셨던 부분은 '대중들은 이걸 보고서 이런 방향을 예측했을 거야, 기대했을 거야'까지 고민을 해서 '이걸 어떻게 변형을 하지?'라는것까지 염두해 두지 않으셨을까 싶다. 그런 고민이 느껴지기 때문에 시즌2와 시즌3에 대해서는 만족감이 클 것 같다.
-황동혁 감독이 공개된 후 해준 말이 있나.
▶감독님이 앞에서 칭찬하시는 스타일은 아니시다. 근데 감독님이 명기라는 인물을 복합적으로 잘 표현해 줬다는 식의 말씀을 해주셨다. 그런 게 감독님의 평가가 저한테 있어서는 의미 있는 코멘트였던 것 같다. 그것이 지금 명기로서 욕을 먹고 있는 것에 대해서 버틸 수 있는 버팀목이 되지 않았나 싶다. 근데 그거에 대해서는촬영을 할때도 농담 삼아서 얘기했다. 이게 공개되면 명기는 욕먹을 일만 남았다고 하시더라.(웃음)
-세계에서 가장 흥행한 작품에 출연했는데 앞으로의 배우 경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 같나.
▶배우 커리어에 있어서 '오징어 게임'에 출연한 게 뭔가를 분명하게 바꿔놓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단지 '어디 작품에 나왔는데?'라고 물으면 소개하기 쉬운 지점은 있을 건데 그게 다인 것 같다. 그보다는 저는 저를 명기라는 캐릭터로 해외에서 알아보게 될 경우가 많을 테니 앞으로는 다른 모습도 보여주고 싶다는 생각이다.
-앞으로 할리우드 진출 욕심은 없나.
▶굳이 할리우드 작품, 그런 거에 국한해서 생각하는 게 아니라 이제는 해외로 뻗어나갈 수 있는 방향성이 되게 다양해졌다. 어떻게 보면 '오징어 게임'이라는 작품 자체가 여느 할리우드 작품보다 파급력이 있는 경우였다. 그래서 저는 그러한 플랫폼과 기회가 생긴 것에 대해 축복받은 세대에 살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기회가 들어오면 열심히 도전하겠지만 꼭 그것만을 위해 달려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왕이면 제가 한 작품들을 사람들이 많이 봤으면 좋겠다는 기대와 그걸 충족시킬 수 있는 어떤 작품들이 있으면 여러 방면으로 최선을 다해서 노력할 수 있을 것 같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