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는 7일 논평을 통해 "유동전단채 관련 조기변제는 제외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회생법원에 우선변제 약속을 해놓고 지키지 않은 비열한 행태였다고 본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홈플러스가 서울회생법원에 '유동화전단채를 공익채권 승인 절차를 거쳐 우선 변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4개월 가까이 구체적인 이행 조치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유동화전단채는 납품업체들이 사용한 기업구매전용 카드를 유동화해 발행된 채권으로, 상거래 채권에 해당하기 때문에 회생계획 인가 전에도 조기 변제가 가능하다는 해석이 우세하다는 게 비대위의 입장이다. 현재 현대카드(3.12)를 비롯해 현대차증권, 신영증권, 하나증권, 롯데카드, 유진투자증권 등 여러 금융기관이 "상거래채권으로 인정돼야 한다"는 의견서를 제출했고 다수 전문가도 같은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비대위는 홈플러스가 지난 3월6일 회생채권 조기변제 신청서를 제출하면서도 유동화전단채만 제외하고 일반 상품대금만 포함시킨 점을 문제 삼았다. 충분한 현금 유동성이 있었음에도 고의적으로 조기 변제 대상을 누락했다는 주장이다.
비대위는 "그동안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는 수많은 거짓약속과 기만적인 책동으로 피해자들과 이해관계자들의 속을 태우고 있다"며 "더 이상 거짓말로 상황을 모면하지 말고, 진정성 있는 자세로 사태 해결에 나서주기 바란다"고 요구했다.
또한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를 향해서도 "홈플러스 법정관리인인 김광일 대표는 인가 전 M&A가 진행 중인 지금이라도 조기 변제 허가를 신청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현재 홈플러스는 M&A 절차를 병행하며 회생계획안을 마련 중이다. 이번 조기변제 미이행 논란이 향후 투자자나 채권자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제기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