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동해와 서해에서 표류하다가 구조된 북한 주민 6명을 해상 송환했다. 사진은 지난 2019년 7월13일 오전 1시18분쯤 동해 북방한계선(NLL) 북방 1㎞, 동해 연안 8.7㎞ 해상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 목선. /사진=뉴시스(합참 제공)
정부가 동·서해상에서 표류하다가 구조된 북한 주민 6명을 해상 송환했다.

9일 뉴스1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쯤 동해 북방한계선(NLL) 일대에서 송환이 진행됐다. 우리 측이 이들을 NLL 인근까지 인도해 북측 경비정에 신병을 인계했다. 이들 중 2명은 지난 3월7일 서해에서, 4명은 지난 5월27일 동해에서 우리 측에 의해 구조됐다. 6명의 주민 모두 구조 직후부터 북한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사를 꾸준히 밝혀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서해에서 구조된 북한 주민들의 선박은 기관 고장으로 운항 불가능했으며 동해에서 구조된 주민들의 선박은 점검 결과 운항이 가능해 6명 전원의 동의를 받고 한 배에 실어 송환했다"면서 "북측 선박들이 인계 지점에 나와 있었다"라고 전했다. 북한 경비정과 견인용으로 추정되는 배 한 척, 어선으로 보이는 배가 사전에 대기하고 있었다. 6명의 주민이 탄 배는 북측에 인계 후에도 자력으로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당국자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안전·신속하게 북한 주민들을 송환한다는 입장 아래 관계기관과 협력해 왔다"며 "송환 과정에서 북한 주민들의 자유의사를 여러 차례 확인했고 관계기관과 협력해 송환 전까지 북한 주민들을 안전하게 보호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북한 표류주민들은 각각 124일만, 43일 만에 북한으로 돌아가게 됐다. 이들은 줄곧 귀환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왔지만, 북한이 남북 간 연락 채널을 모두 단절해 남북 간 송환 논의가 이뤄지지 못했다. 정부는 유엔군사령부와 북한군 간 직통 전화인 '핑크폰'을 통해 이들의 귀환 의사를 알렸고, 북한은 응답하지 않았다. 이에 정부는 이들이 타고 온 선박을 수리해 이들을 태워 자력으로 항해해 귀환하도록 하는 방식을 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