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내에서 같은 날 두 명의 학생이 극단적인 선택을 한 사고의 뒷수습을 둘러싸고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사태 수습을 해야 할 경북도 교육청 실무진이 현장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고 경북도 교육감이 주관하는 행사에 참석한 것을 두고 "교육청이 위기 의식이 없는게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
<머니S> 취재에 따르면 지난 9일 오전 경북 구미와 김천 지역에서 고등학생과 중학생이 극단적 선택으로 잇달아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경북도교육청은 사건 직후 관련 보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무를 맡고 있는 담당 과장은 곧장 교육청에 복귀하지 않고 구미에서 열린 '직업교육박람회' 행사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해당 박람회는 임종식 교육감이 주관하는 행사 가운데 하나였다. 이를 두고 교육청 내부와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교육감이 참석하는 공식 행사여서 실무진이 눈치를 보느라 (사건대응을 하는 대신 행사에) 참석을 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구미 지역의 한 고등학교 학부모 A씨는 "두 명의 학생이 같은 날 사망한 엄중한 상황에서 박람회 참여가 과연 타당했는지 묻고 싶다"며 "교육청은 생명을 다루는 기관이라는 점을 망각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익명을 요구한 교육청 관계자는 "보고는 이뤄졌지만 사고 수습과 대응을 뒷전으로 하고 박람회에 일괄 참석한 건 분명 부적절했다"며 "이같은 문화는 고쳐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북도교육청 실무과장은 "행사 시작 전에 보고를 받고 유선으로 업무를 지시를 내렸다"며 "사고 수습을 위해 행사에 이어진 식사 자리는 참석하지 않고 복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같은 해명은 오히려 논란을 키우고 있다. 사건의 중대성을 고려할 때 이를 담당하는 과장은 물론 교육감이 애도 표명과 수습 지휘에 집중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비슷한 상황에서 다른 지역 교육청은 유사한 상황에서 정반대의 대응을 보였다. 지난해 충남에서 발생한 고교생 사망 사건 당시 도교육감은 예정된 일정을 전면 취소하고 사고 학교를 직접 찾아 유족과 면담했으며 즉시 위기 대응팀을 꾸려 수습에 나섰다. 당시 대응은 지역사회로부터 "책임 있는 자세"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경북교육청의 위기관리 매뉴얼과 책임자들의 위기 인식, 공직자들의 책무에 대한 전면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