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란 특검 소환조사에 불응하면서 조사가 불발됐다. 사진은 내란 특검 2차 소환에 불응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강제 구인 절차에 돌입한 14일 오후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로 법무부 호송차량이 들어가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내란 특검이 소환조사에 불응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강제 구인 절차에 돌입했지만, 이 조치에도 응하지 않으면서 조사가 불발됐다.

14일 뉴스1에 따르면 박지영 내란특검팀 특검보는 서울고검에서 브리핑을 열고 "교정당국으로부터 특검 인치 지휘를 사실상 수행하기 어렵다는 연락을 받았다"면서 "(윤 전 대통령이) 전혀 응하지 않고 수용실에서 나가기를 거부해 전직 대통령인 점 등을 고려할 때 강제적 물리력 동원이 어려워 난감하다는 취지"라고 밝혔다.


박 특검보는 "특검은 이런 상황을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윤 전 대통령이 오랜 검사 재직 시 형사사법 시스템의 한 축으로 구속 수감자에 대한 조사 업무에 관해 누구보다 더 잘 아시는 분이기에 납득이 어렵다"면서 "인치 지휘는 구속영장에 수반된 당연한 절차다. 피의자 의사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특검팀은 오는 15일 오후 2시까지 서울구치소장에 윤 전 대통령을 재차 인치하도록 지휘 공문을 보낼 예정이다. 박 특검보는 "내일은 반드시 피의자 윤 전 대통령의 조사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박 특검보는 '서울구치소에 직접 방문해 조사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해 "김건희 여사를 방문 조사해서 사회적 비난 여론이 상당했다. 구속된 피의자에 대한 방문 조사도 그와 다르지 않다"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