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패널 장착을 통한 자립형 전력 공급 등 에너지 효율성까지 고려한 카라반 내부에는 에어컨부터 냉장고, 테이블, 전자레인지 등 휴식에 필요한 기본 시설이 마련됐고 기초 서류 작업 등도 가능하다.
휴게용 카라반은 설계 단계에서 실제 사용자인 현업 정비 담당자들과 충분한 소통을 통해 현장의 의견을 적극 반영했다. 함께 현장 실사도 진행하며 실용성을 한층 높이는 등 현장 정비 여건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작됐다.
제주항공은 김포국제공항에도 곧 휴게용 카라반을 도입할 예정이다.
제주항공은 무더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임직원들과 협력업체 직원들에게 쿨토시·쿨마스크·넥쿨러·모기 기피제·식염 포도당 등 온열질환 예방 물품도 지급했다.
공항에서 근무하는 제주항공의 지상조업 자회사 JAS 여객 직원들에게는 통기성이 좋고 건조가 빠른 소재의 여름용 셔츠 유니폼을 지급해 시원하고 쾌적하게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밖에 제주항공은 ▲체감온도 31도 이상 폭염 작업 시 적절한 휴식 ▲체감온도 33도 이상 폭염 작업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작업 장소와 가까운 곳에 쉼터 설치 ▲작업 전후 근로자 건강상태 수시 확인 등 안전보건 조치도 실시한다.
제주항공은 이를 통해 온열질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한다.
앞서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는 안전보건관리(총괄)책임자 자격으로 전날 오후 인천국제공항에서 안전보건담당자 및 현장관리감독자들과 함께 작업 현장을 찾아 시설물 등 작업 환경을 점검했다.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현장 직원의 각종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도 가졌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