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3일까지 수도권에서 집합건물(아파트·오피스텔·다세대·연립주택 등)을 생애 처음으로 매수한 무주택자는 1만315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대출규제 시행 직전인 지난달 1일부터 24일까지 같은 기간의 1만6548명에 비해 21% 줄어든 수치다.
서울의 감소 폭은 더욱 두드러진다. 같은 기간 서울에서 생애 첫 집을 마련한 무주택자 수는 5122명에서 3343명으로 35% 가까이 감소했다. 경기도도 9072명에서 5926명으로 34.7% 줄었으며, 수도권 전체적으로 매수심리가 급격히 위축된 모습이다. 반면 인천은 같은 기간 2354명에서 3887명으로 65% 넘게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고 규제 여파가 덜한 인천으로 매수 수요가 일부 이동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대출규제 도입 이후 매수 수요가 몰릴 것으로 예상했던 중저가 밀집 지역인 노·도·강 지역에서 첫집 마련 매수자가 줄어든 모습이다. 생애 첫 집을 마련하려는 실수요자들의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하면서 이들 지역에서도 매수세가 줄었다.
━
대출 규제에 중저가 지역 첫집 매수도 급감━
정부는 지난달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생애 최초 LTV(주택담보대출비율)를 80%에서 70%로 낮추는 등 무주택자 대상 대출 조건도 전방위로 강화했다. 정책자금을 활용하던 청년층과 신혼부부가 타격을 받은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노원구 상계동 '포레나 노원' 전용 59㎡는 이달 5일 9억원(8층)에 거래됐다. 도봉구 창동 '북한산 아이파크' 전용 84㎡는 지난 1일 10억3000만원(18층)에 거래됐다. 서울 중저가 지역조차 9억~10억원대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강남, 서초, 용산 등 최근 집값 상승세가 뚜렷했던 고가 아파트 밀집지역도 규제 여파로 매수세가 눈에 띄게 줄었다. 강남구의 경우 생애 첫 집 매수 건수가 333건에서 77건으로 77% 급감했고, 서초구는 119건에서 94건으로 21% 감소했다.
정부는 금융 건전성 강화 차원에서 대출 규제를 도입했지만, 실수요자를 위한 대책 마련도 병행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일부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하락했음에도 여전히 가격 수준이 높다"며 "청년층과 신혼부부의 자금조달 어려움이 커져 생애 최초 매수 수요는 당분간 주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도 "현재 규제 환경에서는 무주택 실수요자들이 아파트를 구매하기 쉽지 않다"며 "대출 규제만 강화할 것이 아니라, 실수요자들이 합리적인 가격에 접근할 수 있도록 공급 정책도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