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뉴스1에 따르면 지난 27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D.C. 한국전 참전비에서 열린 72주년 6·25전쟁 정전협정 기념식에서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이 대독한 기념사를 통해 이 대통령은 "6·25전쟁이 발발하자 미국은 신속하게 유엔 안보리의 결의를 이끌어내고 유엔사령부를 창설해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는 데 공헌했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은 22개 참전국 중 가장 많은 178만9000명 용사들을 파병해 3만6000여명이 전사하고 9만2000여명이 다쳤으며 8000여명이 실종 또는 포로가 되는 등 일면식도 없는 대한민국을 위해 피를 흘렸다"며 "대한민국을 대표해 다시 한번 숭고한 희생과 헌신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밝혔다.
또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은 어려울 때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 준 75년전의 역사를 기록하고 전사한 이들의 숭고한 넋을 영원히 기억하고자 2022년 우리가 서 있는 이곳에 미국과 함께 '추모의 벽'을 공동으로 건립했다"며 기념식 장소의 상징성을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앞으로도 대한민국은 한 분이라도 더 많은 참전용사들에게 감사를 표하고 그 후손들에게 선대의 위대한 헌신을 알리겠다"며 "더 나아가 정치·경제·안보·문화 등 다방면에 걸친 노력을 통해 숭고한 피로 맺어진 한미동맹을 더욱 굳건하게 다져나가고 한반도에서 자유와 평화가 굳건하게 지켜질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기념식에는 더글라스 콜린스 미국 보훈부 장관과 이반 카나파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선임 보좌관, 토마스 론도 국방부 미래세대 무선기술(Future G) 정책 및 기술총괄, 켈리 맥케이그 미국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 국장, 존 틸러리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재단(KWNMF) 이사장, 유엔 참전국 현지 국방무관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