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올해 하반기와 내년 실적 회복 과정에서 신규 거래선 확보와 매출 다각화, 믹스 효과로 추가적인 수익성 개선을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대덕전자 2분기 영업익은 전년동기 대비 82.9% 급감한 18억원이다. 박 연구원은 "종전 추정치 65억원과 컨센서스(시장 추정치) 56억원을 밑돌면서 부진했다"며 원·부자재 역마진, 비메모리 패키지 고정비 부담을 원인으로 꼽았다. 다만 "매출이 2458억원으로 종전 추정 2348억원, 컨센서스 2343억원을 각각 4.7%, 5.0% 웃돈 점은 긍정 평가한다"고 덧붙였다.
박 연구원은 "지난 1분기 대덕전자 영업익은 62억원 적자로 저점이었다"며 "3분기 124억원, 4분기 142억원으로 개선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연간 기준으로도 영업익이 지난해 113억원에서 올해 222억원, 내년 881억원 등으로 실적 턴어라운드가 시작될 것으로 판단했다.
박 연구원은 올해 실적 개선 주 요인으로 AI 가속기 관련 인쇄회로기판(MLB) 신규 매출을 꼽았다. 그는 "올해 AI 가속기 관련 MLB 매출은 약 194억원으로 추정한다"며 "MLB 전체 매출은 1655억원으로 전망한다"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자율주행 칩 관련 FC BGA 신규 매출도 강조했다. 그는 "4분기 신규 매출 52억원을 예상한다"며 "전체 FC BGA 가동률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봤다. 이어 "내년 자율주행 칩 적용 FC BGA 매출은 자율 주행차 수요 증가로 약 396억원으로 추정한다"며 "테슬라와 삼성전자 신규 공급 계약 관련해 추가 공급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판단했다. FC BGA는 고성능 반도체 칩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판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