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은 지난 30일 설명회를 열고 배터리사업 자회사인 SK온과 윤활유사업 자회사인 SK엔무브의 합병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합병법인은 오는 11월1일 공식 출범한다.
양사의 합병설은 기존부터 꾸준이 제기돼 온 것이다. 특히 SK이노베이션이 최근 SK엔무브의 기업공개(IPO)를 잠정 중단하고 지분 30%를 재매입해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면서 SK온과의 합병을 염두에 둔 사전 작업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렸다.
당시 SK이노베이션은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나 결정된 것은 없다"고 선을 그었으나 결국 두 회사의 합병은 사실이 됐다.
이번 합병으로 SK이노베이션은 재무구조를 한층 강화할 수 있게된다. SK온은 올해 1분기 기준 23조4659억원 규모의 순차입금과 251%에 달하는 높은 부채비율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지속적인 적자로 재무적 부담이 큰 상황이다.
반면 SK엔무브는 최근 3년간 연평균 약 9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캐시카우 역할을 해왔다. 합병을 통해 SK엔무브의 현금흐름이 SK온의 재무구조를 보완하며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다.
이동욱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합병으로 SK온은 자본 약 1조7000억원, 상각전영업이익(EBITDA) 약 8000억원 규모의 즉각적인 재무 개선 효과가 전망된다"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은 연내 1조5000억원 이상의 차입금을 감축하고 SK온은 부채 비율을 2030년까지 절반으로 줄여 100% 미만으로 만들 계획이다. 추가로 SK이노베이션은 올해 연말까지 총 8조원의 자본 확충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제3자 유상증자, 영구채 발행 등 계열사별로 동원 가능한 모든 재무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결과적으로 순차입금을 올해 9조5000억원 이상 감축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사업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SK온의 전기차(EV) 배터리, ESS 배터리 등과 SK엔무브의 기유 및 윤활유, 액침냉각, EV 공조용 냉매 등 핵심 사업영역에서 양사의 동일한 고객군 활용과 제품 교차 판매를 통한 수익증대가 예상된다. 또 액침냉각과 배터리를 묶은 패키지 사업 등 신규 시장 진입 및 사업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동욱 연구원은 "SK엔무브의 액침 냉각 및 열관리 솔루션 기술이 SK온의 배터리 안정성과 수명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며 "이는 EV, 에너지저장장치,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고성능 열관리 수요처로의 진출을 가능케 하며, 사업 확장성 측면에서도긍정적인 효과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이석희 SK온 사장은 "양사 기술 및 사업역량 결합 등 합병 시너지가 기대되는 만큼 앞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한 차원 더 높은 경쟁력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부터 계열사 전반에 걸쳐 지속성장을 위한 구조적 혁신의 일환으로 사업 및 재무 구조 개선을 두 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적극 추진해 왔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11월 SK E&S와 합병했고, SK온은 지난해 11월부터 올 2월까지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SK엔텀과 합병하는 사업구조 리밸런싱을 단행했다.
특히 올해 5월 말 취임한 장용호 총괄사장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리밸런싱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는 분석이다. 장 총괄사장은 SK그룹 내 대표적인 구조조정·리밸런싱 전문가로 꼽힌다.
장 총괄사장은 지난 6월19일 타운홀미팅을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은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 과제로 실행 가능한 방안을 만들어 빠르게 추진해 나가겠다"며 "성장 및 수익성 기반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적극적으로 재편해 나가고 리밸런싱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을 이끌어 내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