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뉴시스에 따르면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관련 상임위원회 회의를)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열려고 한다"며 "오늘 국민의힘 차원에서 관련된 상임위 간사, 의원님들을 모아 대책회의를 열기로 했다"고 전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먼저 우리는 한미 FTA로 자동차 등 대부분 수출품에 관세율 0%를 유지해 온 반면 일본과 EU는 지금까지 품목별로 1~10%에 가까운 관세를 적용받아왔다"며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만 보더라도 일본과 EU는 그동안 2.5%의 관세율을 적용받아왔기 때문에 이번 15% 관세 협상으로 12.5% 높아졌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우리가 일본·EU와 동등하려면 12.5%이하의 관세율을 관철시켰어야만 한다"며 "먼저 협상을 타결한 일본·EU 등에 비교해 볼 때 이번 대미 투자 규모는 이들 국가와의 국가별 경제 규모를 감안하더라도 지나치게 과도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번 3500억달러 대미 투자 규모는 GDP 대비 약 20.4%에 육박하는 수준"이라며 "일본의 대미 투자액 5500억 달러는 GDP 대비 약 13.1% 수준이며 EU는 GDP 대비 6.9% 수준에 불과하다. 경제 규모가 각각 2.5배와 11배가 더 큰 일본·EU와 동등한 관세를 적용받은 건 사실상 협상 실패와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농축산물 추가 개방에 대해서도 미국과 다른 목소리를 내 의문을 자아내고 있으며 앞으로 협의를 계속하겠다는 여지만 남겨 어느 수준까지 농산물 시장을 개방할 것인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부는 샴페인을 터뜨리기 전에 아직 끝나지 않은 협상에 대해 면밀히 점검하고 그 내용을 국민께 소상히 알리는 데 주력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