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금융권에 따르면 구 부총리는 이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을 방문해 이 총재와 면담했다. 구 부총리는 첫 인사 때부터 "개인으로 따지면 선배님이 되시고 늘 한국 경제를 위해서 다양한 아이디어 주시고 참 존경하는 총재님이다"라며 치켜세웠다.
이 총재도 "취임 축하드린다. 엄중한 시기에 중책을 맡아서 잘 해주실거라 믿는다. 특히 취임하시자마자 어려운 관세협상에서 굉장히 중요한 결과를 도출해서 정말 잘하셨다고 응원 드린다"고 화답했다. 두 사람은 경제 도약과 구조개혁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구 부총리는 "우리 경제가 만만치 않은 것 같다. 장기 성장률이 떨어지는 이유는 한마디로 말해 우리 경제가 실력이 없어서 그런 것이다. 실력을 키우려면 모든 경제 주체들이 협업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재부가 될만한 아이템을 찾아 선택과 집중을 하고, 혁신 아이템을 자꾸 키워서 잘 하다 보면 노동 생산성도 올라가고 투자도 늘어나고 기술도 향상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그런 측면에서 앞으로 총재님과 상의도 하고 도움도 받겠다. 한국 경제의 재도약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절박감을 가지고 앞으로 잘 모시고 잘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한국은행 입장에서 볼 때 관세 협정이 잘 돼서 8월 통화정책방향에서 큰 부담을 덜었다. 통화정책방향 전에 관세가 잘못되거나 하면 어려운 상황에 처할 것으로 생각했는데, 어려움이 많으셨을텐데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 아직 끝난 문제가 아니니까 계속 잘해주실 거라 믿는다"고 언급했다.
또 "(기재부가) 우리나라 경기 조정과 경제를 이끌어나가시는 것과 함께 구조조정을 하시는데, 한국은행이 싱크탱크로서 최대한 도와드리고 같이 협력하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구조조정과 관련해) 저희가 '어떻게 하면 좋겠다'고 구체적인 안을 내다 보니까 처음에는 좀 시끄러웠는데 지금은 싱크탱크 역할을 인정해주시는 분이 많은 것 같다"며 "가장 큰 수요처가 기재부가 될테니까 나쁜건 버리시고 좋은건 선택하셔서 해주시면 한은 연구자들도 힘을 많이 받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올해 이재명 정부 출범 후 F4회의는 지난 6월 중순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 주재로 유상대 한은 부총재 등이 참석해 처음 열렸지만 수장간 만남은 이번이 처음이다.
구 부총리는 면담 종료 직후 'F4회의'(거시경제·금융 현안 간담회) 법제화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조직 개편에 따라 F4가 될지 F3가 될지 상황을 보면서 할 것"이라며 "형태가 중요한 게 아니고, 늘 소통하고 우리끼리 공감하고 이렇게 원팀으로 하는 게 중요하다."고 답했다. 올해 성장률 1%가 달성 가능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최선을 다하겠다"고 대답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