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8일 0시 기준, 전체 대상자 중 95.2%인 4818만명이 소비쿠폰을 신청했으며, 이에 따라 총 8조7232억원이 지급됐다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96.17%로 신청률이 가장 높았고, 이어 울산 96.10%, 인천 95.95%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서울이 94.47%, 경기도가 95.05%를 기록했으며,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의 93.75%였다.
지급 방식별로는 신용·체크카드가 3369만7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모바일 및 카드 형태의 지역사랑상품권이 768만4000명, 선불카드 570만2000여명, 지류 지역사랑상품권이 109만3000명 순이었다.
소비쿠폰 신청이 어려운 이들을 위한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를 통해서는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1일까지 19만8893건이 접수돼, 이 중 18만8402건의 지급이 완료됐다. 단, 부산과 대구는 지난 4일부터 신청 서비스를 시작해 이번 통계에 포함되지 않았다.
7일 기준 신용·체크카드로 지급된 금액 중 51.9%인 3조404억원이 이미 사용됐으며, 카드 사용률은 제주가 57.18%로 가장 높았고 인천(54.71%), 광주·울산(각 54.55%)이 뒤를 이었다. 세종은 48.44%로 가장 낮은 사용률을 보였다.
1차 소비쿠폰은 다음달 12일까지 신청을 받는다. 이번 소비쿠폰은 국민 1인당 15만~40만원을 기본 지급하고, 비수도권 지역 주민에게는 3만원,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주민에게는 5만원을 각각 추가로 지급하는 구조다.
행안부는 2차 소비쿠폰 지급도 예정대로 준비하고 있으며, 전 국민의 90%에게 1인당 10만원을 추가 지급할 예정이다. 2차 쿠폰 신청은 오는 다음달 22일부터 오는 10월31일까지 진행된다.
정부는 소비쿠폰 사용 이후에도 경기 회복세를 이어가기 위해 숙박·여행·교통·유통 분야로 소비 진작 대책을 확장한다. 이달 20일부터 비수도권 숙박 쿠폰을 발급하는 '숙박 세일 페스타'를 시작으로, 9월에는 '여행하는 가을' 캠페인을 통해 63만 명 대상 여행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10월과 11월에는 항공·철도 운임 할인을, 12월에는 '코리아 그랜드 세일페스타'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특히 8월 30일부터 9월 30일까지 한 달간 열리는 '동행축제'는 비수도권 소비를 촉진하는 대표 행사로 기획됐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