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13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국정과제 반영 성과를 브리핑 하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13일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포함된 123개 국정과제(564개 실천과제) 가운데 광주의 핵심 공약이 대다수 연계됐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제21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성격을 가진 국정기획위원회가 국민보고대회를 통해 발표한 것으로 민선 8기 동안 준비해온 광주의 지속가능 성장 전략이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본격 추진될 길이 열렸다.


특히 제1호 국정과제인 '진짜 대한민국을 위한 헌법 개정'에는 5·18민주화운동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이 포함돼 의미를 더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광주 7대 지역공약은 △AI 국가 시범도시 조성 △민·군 통합 서남권 관문공항 건설 △모빌리티 대표도시 육성 △아시아문화중심도시 3.0 추진 △영산강·광주천 수변 활력도시 조성 △국가 초고자기장 연구인프라 구축 △호남권 메가시티 조성 등으로 모두 분야별 국정과제와 연계돼 차질 없이 추진될 전망이다.

광주시는 이러한 성과를 위해 대선 전부터 발 빠르게 움직였다. 대통령 탄핵 인용 4일 만에 광주발전 전략을 수립해 각 정당 대선캠프에 전달하고 주요 공약으로 채택되도록 했다. 대선 이후에는 '대선공약 서울상황실'을 운영하며 대통령실·국정위·중앙부처·국회와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 국정과제에 지역 현안을 반영하도록 지속 건의했다.


이 과정에서 안도걸, 박균택 의원 등 국정위 자문위원과 정진욱, 조인철, 양부남, 정준호, 전진숙, 민형배 의원이 국회 상임위에서 적극 활동하며 힘을 보탰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AI수석, 국정위원장 등을 직접 만나 AI, 통합공항, 모빌리티 등 핵심 사업의 국정과제 반영을 설득했다.

강 시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호남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바탕으로 광주의 공약이 실질적 결실을 맺을 것이라 기대한다"며 "광주는 민주주의 상징에서 나아가 AI·모빌리티·문화·균형성장의 선도 도시로 대한민국의 내일을 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