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부산시에 따르면 위원회는 '동북아 해양수도 비전' 선포 25주년과 부산항 개항 150주년 기념하고 새 정부 출범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등을 기회요인으로 삼아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구성된다.
글로벌 해양경제를 주도하기 위한 핵심 의제를 발굴하고 주요 정책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시민 역량 결집과 공감대 형성 등의 역할을 할 추진위원회에는 지역 산업계와 해양 클러스터 연구기관, 해양금융, 대학, 언론, 시민단체 등 60여 개 기관(단체)이 참여한다. 향후 해양신산업을 선도할 의제를 발굴하고 주요 정책 추진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할 예정이다.
산·학·연·민·관을 아우르는 다양한 기관을 중심으로 분야별 분과위원회를 구성하고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정책 논의를 위한 운영위원회와 정책협의회도 별도로 운영한다.
특히 추진위원회는 2024년 12월 출범한 '해양 싱크탱크 정책협력 네트워크'와 '북극항로 개척 전담조직(TF)' 등 그간 시가 해양신산업 분야에서 초대형 사업 발굴을 위해 추진한 협의회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산·학·연·민·관 전체를 아우르는 네트워크의 사령탑 역할을 할 예정이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이 해운․항만․물류 중심지를 넘어서 해양신산업, 해양과학기술, 해양금융, 국제협력, 문화·관광을 포괄하는 글로벌 해양경제를 주도하기 위해 그동안 축적한 지역의 해양 분야 혁신역량을 결집하고 대한민국이 진정한 해양강국으로 자리매김하는데 중심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