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오는 21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석유화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금융권 간담회'를 개최한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과 산업은행·기업은행·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무역보험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 등이 한 자리에 모인다.
금융위는 채권금융기관 간 협약을 맺어 석유화학 기업들의 자금 수요에 공동 대응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석유화학 구조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석유화학 업계가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스스로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재편하고 재무 건전성 회복 노력에 나서는 것을 전제로 정부가 금융·세제는 물론 규제 완화까지 폭넓게 지원하는 내용이다. 금융권이 보유한 석유화학 업계의 익스포저(위험 노출액)은 3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 부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금융위에 "채권금융기관과 함께 재무상황과 자구노력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주기 바란다"며 "업계가 제출한 계획이 진정성 있다고 판단되면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한 R&D 지원, 규제 완화, 금융, 세제 등 종합대책을 적기에 마련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 관계자는 "정부가 마련한 석유화학 구조개편 방안을 설명하고 채권금융기관에 지원 협조를 요청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대주주의 자구노력이 전제돼야 금융권도 만기 연장 등 지원을 논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