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이날 오전 제주도청에서 제주도와 '주 4.5일제 도입, 관광시장 안정화 및 단체 인센티브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제주도청은 지난해 전국 최초 주 4.5일제를 시행한 지방 행정기관이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주 4·5일제 도입 등을 통한 국내관광 위기 극복을 위한 협력 체계 구축 ▲주 4·5일제 도입 추진 등 노동 존중이 실현되는 사회를 위한 노동 관련 상호 협력체계 구축 ▲금융노조 산하 지부와 제주관광 활성화를 위한 협력 및 인센티브 지원▲조합원 제주 '워케이션' 참여기회 마련 및 참여프로그램 개발 ▲제주관광 정책 활성화 등 기타 상호 협력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업 논의 등이다.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주 4.5일제는 대한민국 노동의 새로운 전환점이자 제주도의 새로운 희망이 될 것"이라며 "주 4.5일제가 국내관광과 지역경제에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노조는 다음달 1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시작으로 16일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열고 26일 총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은행권은 2002년 주 5일제를 도입했고 정부는 근로기준법을 개정해 2004년부터 전 산업으로 확대한 바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한국의 평균 노동시간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이하로 낮추겠다며 주 4.5일제를 거쳐 장기적으로 주 4일제로 나아가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역시 7월1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가능한 곳부터 주 4.5일제 시범사업을 지원하겠다"며 "AI 등 기술 혁신으로 생산성이 향상된다면 임금 삭감 없이 주 4.5일제 도입이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관건은 주 4.5일제 도입을 향한 곱지 않은 시선이다. 금융노조는 연내 시범 도입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지만 사측은 관련 법·제도 미비 등을 이유로 난색을 보인다. 은행원의 근무 시간 단축은 곧 영업점 운영시간 단축으로 이어져 소비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김형선 위원장은 "주 4.5일제는 수도권 과밀 해소와 지방 정주 여건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단순히 금융산업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라며 "지방정부의 굳건한 응원과 지지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